자동차 원가의 개념
1) 원가란?
- 미래의 이익을 얻기 위해 소비된 경제가치
-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른 경제적 자원의 희생을 화폐액으로 표시한 것
- 제품의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금액
판매할 상품 혹은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제품을 자체 생산하기 위해 사용한 자원의 소비를 금액으로 나타낸 것.
2) 원가와 비용의 차이(원가 < 비용)
□ 원가
- 제품의 생산(또는 구입),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의 합
- 생산을 위해 소비된 경제가치
- 제품이 판매되기 전에는 원가이자 자산이 됨
□ 비용
- 기업 운영을 하면서 들어가는 금전적, 비금전적 금액
- 수익을 얻기 위해 소비된 경제가치
- 제품이 판매된 후에는 비용이 됨
2. 다양한 기준에 의한 원가의 분류
1)원가 분류 기준
2)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 직접비(직접 원가)
정의
: 실질적 또는 경제적으로 특정 제품 또는 특정 부문에 직접 부담시킬 수 있는 원가
직접 원가의 분류
- 특정 제품에 얼마나 비용이 들어갔는지 알 수 있을 때
- 계산이 명확히 가능한 경우
□ 간접비(간접원가)
정의
: 원가와 원가대상 간의 관계를 실질적 또는 경제적 추정할 수 없는 원가
직접 원가의 분류
- 어느 제품에 얼마의 비용이 들어갔는지 알 수 없을 때
- 계산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 소요량 측정 가능 여부에 따라 결정됨 : 직접비 혹은 간접비 결정
직접원가 및 간접원가 부가 방식
부과 : 직접비를 해당 부문 혹은 해당 제품에 더해 줌
배부 : 간접비를 해당 부문 혹은 해당 제품에 나누어 줌
3) 가동률과 관련성에 따른 분류
고정비(고정원가)
가동률 즉 생산수량이나 작업시간 등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기간 중 일정액이 발생되는 원가
준 고정비
특정 범위의 가동률 하에서는 고정원가이나, 특정가동률 초과 시에 일정액만큼 증가하는 원가
변동비(변동원가)
가동률의 변화에 따라 비례해서 변동되는 원가
준변동비
고정원가 부분 + 변동원가 부분
4) 시점에 따른 분류
원가발생 시점
- 역사적 원가 : 실제원가 취득 당시의 교환가격 : 객관적, 검증가능
- 예정 원가 : 미래원가, 미래의 예측원가 : 주관적, 검증곤란
원가 산정 시점
- 사전원가 : 제품 제조 전에 산정하는 원가(견적 원가, 표준원가, 목표원가 등)
- 사후원가 : 제품 제조 후에 산정하는 원가(실제 원가 등)
사전원가와 사후원가의 차이 분석에 의한 향후 원가절감 계획 수립
종합
원가 : 미래의 이익을 얻기 위해 소비된 경제가치
원가<비용
원가란 변화무상한 것으로 사람에 따라 계산 방법에 따라 시장환경에 따라 같은 물건의 계산 값이 차이가 발생합니다.
- 직접비란 특정제품 또는 특정부문에 직접 부담시킬 수 있는 원가를 의미합니다.
- 간접비란 원가와 원가 대상간의 관계를 실질적 또는 경제적으로 추정할 수 없는 원가를 뜻합니다.
고정비
- 가동률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기간 중 일정액이 발생되는 원가를 말합니다.
- 변동비란 가동률의 변화에 따라 비례해서 변동되는 원가를 의미합니다.
원가 산정 시점에 따라 사전원가, 사후원가로 분류합니다.
사전원가와 사후 원가의 차이 분석을 통해 향후 원가절감 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매몰원가 : 매몰원가는 과거의 지출로부터 발생한 원가로서 현재 미래의 의사결정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원가입니다. 예로, 구장비를 신장비로 대치하는 의사결정을 할 경우 구 장비의 구입가격이 매몰원가가 됩니다
기타 : 부가원가, 차이원가, 기회원가
3. 자동차의 원가관리 방법
1. 자동차의 원가기획과 목표원가 설정
1) 선행단계의 원가기획 필요성
선행단계에서의 철저한 원가관리 목적
- 목표이익 달성
- 목표원가 설정
2) 목표원가 설정방법
1단계 : 시장조사, 경쟁사 가격 분석, 국내외 원가대응력 : 고객의 요구 파악
2단계 : 판매가 결정
3단계 : 목표이익
목표 원가 = 판매가 결정 – 목표 이익
목표원가에 의한 관리를 하여 제품 생산 이전에 고객의 요구와 회사의 목표 이익을 반영한 제품 설계로 원가구조를 혁신할 수 있다.
목표원가에 의한 관리로 혁신적인 원가절감 가능하다.
다음 시간에는 자동차 원가 관리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자.
'자동차 개발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일반 관리비 원가관리의 핵심사항 (0) | 2021.01.22 |
---|---|
5.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경비의 정의 및 원가 반경 (0) | 2021.01.14 |
2. 자동차 원가의 개념 (0) | 2021.01.10 |
1.자동차 부품 원가 개론 (0) | 2021.01.09 |
자동차 부품 원가 기획의 개념과 역사 (0) | 2021.01.05 |
6.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PPAP,생산부품승인절차) (0) | 2019.02.14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