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모델/국내 자동차 모델10 2023년 카니발 하이브리드 엔진 출시와 구매 포인트 2023년 카니발 하이브리드 엔진 출시과 구매 포인트 먼저 카니발은 국내의 대표적인 미니밴이다. 그러나 최근에 MPV으로 정의 되고도 있다. 미니밴의 정의 미니밴(영어: minivan) 또는 다목적 자동차(영어: multi-purpose vehicle, MPV)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와 함께, 레크리에이션 차량(RV)의 일종이다. 캠핑용으로 쓰이는 캠퍼밴도 미니밴으로 볼 수 있다. 미니밴은 보통 모노코크 바디로 만들어진다. 이와 반대로 비슷한 차급에 프레임 바디로 만들어진 차량은 기아 모하비가 유명하다. MPV(Multi-Purpose Vehicle) MPV는 ‘Multi-Purpose Vehicle’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다목적 차량이죠. MPV는 높은 지상고, 긴 길이, 해치백 형태 짐칸이 특징입.. 2023. 9. 20. 2023년 신형 싼타페 제원/디자인, 사전예약 2023년 신형 싼타페 제원/디자인, 사전예약 보통 자동차는 4년에 한번 주기에 신차가 나오고 있습니다. 싼타페는 국내 국산 자동차 메이커에서 처음 독자 개발하여 출시한 모델로서 유서 깊은 베스트 셀링 모델입니다. 단 23년 7월 이전의 마지막 싼타페는 TM은 여러 가지의 성능 및 디자인 개선에도 기아 자동차의 동급 모델인 쏘렌토에 판매량에서 많은 고전을 하고 있었습니다. 신형 싼타페 제원/디자인 그럼 싼타페의 각 과거 모델별 프로젝트명과 출시 년도에 대하여 표로서 알아보도록 하자. 세대 코드명 차종 세대 코드명 차종 1세대 2000~ SM 싼타페 2세대 2005~ CM 싼타페 3세대 2012~ DM 싼타페 3세대 FL 2015~ DM PE 싼타페 더 프라임 4세대 2018~ TM 싼타페 4세대 FL 2.. 2023. 7. 5. 아이오닉5(IONIQ5) 전기차 모델 사양 아이오닉5(IONIQ5) 전기차 모델 사양(21년 2월? 조기 출시 예정) 출시 배경 아이오닉5(IONIQ5)는 현대차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사용하여 만든 최초의 전기차 모델이다. 외신에 의하면 21년 4월에 오스트리아에서 출시될 예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정보에 의하면 좀 더 이른 2월중에 출시될 거라는 소문도 있다. 현대차는 코나(KONA)의 화재로 인해 국내 차종을 단종 시키기도 했다. 오스트리아의 한 판매 대리점은 지난해 12월 18일(현지시간)부터 '아이오닉5 퍼스트 에디션' 모델 150대 사전계약을 받고 있다. 사전 계약금은 1000유로(약 135만원)이며, 차량 색상은 내달 2일부터 선택 가능하다. 세그먼트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번째 순수전기차이자 최초의 전기차 전.. 2021. 1. 6. 현대기아차 출시예정(2019년~2022년) 개발 및 출시 차종(개발차종 코드 및 모델명) 현대기아차 출시예정(2019년~2022년) 개발 및 출시 차종(개발차종 코드 및 모델명) 현대차 그랜저 IG F/L - IG PE/2019년 11월 예정 i30 PD F/L - PD PE/2019년 하반기 예정 코나 F/L - OS PE/2020년 상반기 예정 아반떼 7세대 - CN7/2020년 6월 예정 투싼 4세대 - NX4/2020년 상반기 예정 경형 CUV - AX1/2021년 예정 그랜저 7세대 - GN7/2022년 예정 스타렉스 3세대 - US4/2021년 예정 기아차 모하비 F/L2 - HM PE2/2019년 9월 예정 3세대 K5 - DL3/2019년 11월 예정 4세대 쏘렌토 - MQ4/2020년 상반기 예정 5세대 스포티지 - NQ5/2020년 하반기 예정 2세대 니로 - SG2/202.. 2020. 9. 2. 2016년 기아자동차 K7은 과연 준대형차 시장의 돌풍이 될 것인가? 2016년 기아자동차 K7은 과연 준대형차 시장의 돌풍이 될 것인가?□ 2세대 완전 변경 K7이란?신형 K7은 2009년 출시된 후에 7년 만에 개발된 2세대 풀체인지(완전변경) 모델이다.□ K7 세그먼트2016년 K7은 고급 준대형 세단으로 당연히 경쟁 차종은 준대형 부동의 1위인 현대 자동차 그랜져이다. 2015년 판매량 기준 그랜저 국내 판매량은 8만7182대, K7은 2만805대이다. 신형 그랜저는 2016년 말 국내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기존에 있던 3.0 가솔린 모델을 빼고 2.2 디젤 모델을 추가했다. 그랜저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2016년 ALL NEW K7 외관2016년 ALL NEW K7 운전석 및 조수석 □ K7 출시일2016년 2월에 출시될 예정이다.□ K7 모.. 2016. 2. 28. 5. 르노 삼성자동차의 고급 전략 차종 SM6 제원 분석 및 소개 5. 르노 삼성자동차의 고급 전략 차종 SM6 제원 분석 및 소개SM6의 출시 예정일르노삼성자동차는 31일 “2016년 3월 출시 예정인 중형 세단 ‘SM6’ 사전계약을 2016년 2월 1일부터 시작한다. 르노삼성 자동차 SM6 SM6의 경쟁차종SM6의 경쟁차종은 당연히 현대의 소나타와 그랜져가 될 것이다. 가격대로 보면 소나타와 경쟁하고, 사양적인 측면에서 그랜져와 경쟁하게 된다. 중대형차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SM6 가격SM6 가격은 최저 사양가 최고 사양 선택 시 2325만~3250만원이다. 아랫급인 SM5는 2250만원부터 2920만원 사이다. 가격 차이는 최저사양 기준으로 170만원에 불과하다. SM6와 동일 모델인 르노 탈리스만의 유럽 가격을 원화로 환산하면 3500만원에서 5000만원 .. 2016. 2. 25. 4. 소형 SUV 시장 겨냥한 기아자동차 소형 하이브리드 SUV ‘니로(Niro)’ [국내 자동차 모델] 4. 소형 SUV 시장 겨냥한 기아자동차 소형 하이브리드 SUV ‘니로(Niro)’ [국내 자동차 모델]기아자동차가 2016년 2월 11일(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에서 열린 ‘2016 시카고 오토쇼’에서 친환경 소형 SUV ‘니로(Niro)’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기아자동차 니로(Niro) 시카고 모터쇼 발표니로(Niro) 세그먼트니로(Niro)는 국산 SUV 최초 HEV 모델이자 현대•기아차가 국내에 내놓는 첫 번째 B세그먼트(소형) SUV다. B세그먼트 SUV는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성장세가 큰 시장이다. 한국자동차협회(KAMA)에 따르면 국내 소형 SUV시장은 지난해 8만8659대로 2014년 대비 195% 성장했다. ‘니로(Niro)’는 기아차에서 처음 선보이는 소형 SU.. 2016. 2. 16. 3. 기아 자동차 2016년 K7 출시 [자동차 모델] 3. 기아 자동차 2016년 K7 출시 [자동차 모델]기아자동차는 2016년 1월 26일 올 뉴 K7을 공식 출시하였다. 이번 새롭게 출시된 K7은 7년만에 완전히 모습을 바꾸었다. K7의 판매 돌풍K7은 판매 사전 예약을 시작한지 12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 계약대수 7500대를 기록하였다. 사전계약 시 3.3 가솔린 모델이 24%에 달하고, 신규 2.2 디젤 모델 역시 21%의 고객이 선택하였다. 기아자동차의 K7 국내 판매 목표는 올해 5만대로 책정하였다. 작년에 구형 K7은 2만 8천대를 판매하였다. K7 해외 판매 목표는 2만 5천대를, 2017년 7만5천대로 잡았으며 엔진별 내수 판매 비중은 2.4가솔린은 40% 3.3가솔린 25%, 디젤20%, 3.0LPI 15%정도 예상할 것으로 밝혔다.. 2016. 2. 12. 2. 현대자동차 친환경차 2016년 아이오닉, IONIQ [자동차 모델] 2. 현대자동차 친환경차 2016년 아이오닉, IONIQ [자동차 모델]아이오닉은 현대 자동차 친환경 모델로서 2016년 새해 초에 출시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전기적 힘으로 결합과 분리를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이온(ION)'의 특징과 현대차의 독창성을 의미하는 '유니크(Unique)'를 결합한 네이밍. 로고에는 '아이오닉 블루 컬러'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아이오닉을 위해 개발된 친환경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3종의 친환경 파워트레인이 모두 적용된다. 2016년 1월 하이브리드 모델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버전을 출시할 계획이다. 아이오닉(IONIQ)의 연비 및 제원아이오닉은 공인 복합 연비는 리터당 22.4km(도심 2.. 2016. 2. 11. 1. 현대 자동차 국내 첫 독자 개발 모델, 포니(Pony) 현대 자동차 국내 첫 독자 개발 모델, 포니(Pony) 한국의 자동차 독자 개발의 시대를 연 포니(Pony)현대자동차의 첫 독자생산 모델(고유모델)이자 한국산 자동차 최초의 독자생산 모델입니다. 포니는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을 미쓰비시에서 라이센스 생산 방식으로 들여왔습니다. 디자인은 현대 자동차 정세영 회장이 이탈리아의 36세의 젊은 디자이너인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맡았습니다. 자동차 디자인의 한 획을 긋는 이태리의 거장입니다. 당시에 자동차의 플랫폼을 구하기 위해 GM과 포드와 협상을 했으나 실패하였습니다. 결국 미쯔비시 구보 도미오 회장의 한국 가족을 이용하여 미쯔비시와 기술 이전 협상을 체결하여 개발하였습니다. 현대자동차 포니(Pony)의 사양출시일자1975년 12월 1일프로젝트코드명110엔진미쓰비시 .. 2015. 12.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