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자동차 섀시19 2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중 순수 전기식 파워스티어링(EPS) [자동차 개발: 샤시] 2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중 순수 전기식 파워스티어링(EPS) [자동차 개발: 샤시] 최근 전기식 파워스티어링의 도입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연비향상 및 친환경 자동차 개발을 위하여이다.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은 기존 유압식에 비해 1/20의 에너지만 소모하고, 약 3% 정도의 연비 절감 효과가 있다 1.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이 탑재하는 이유 1) 필요한 에너지만 공급하고 탑재성이 좋다. 2) 부품수가 줄어들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3) 파워 스티어링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 4)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고성능/고기능의 조정이 가능하다. 2.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종류 전동식 유압 파워 스티어링(Electro-Hydraulic Power Steeering)과 순수 전기식 파워 스티어.. 2019. 3. 31. 19. 디젤 연료(Diesel Fuel) 공급 시스템 [자동차 섀시/샤시 부품] 19. 디젤 연료(Diesel Fuel) 공급 시스템 [자동차 섀시/샤시 부품]디젤 연료 공급 시스템은 엔진의 연료로 경유를 사용하는 내연기관 시스템이다.1. 디젤 연료 공급 시스템 구성 그림1. 디젤 연료 공급 시스템2. 디젤 연료(Diesel Fuel) 공급 시스템 특징① 증발가스 규제 시스템이 없음디젤 연료는 가솔린에 비하여 휘발성이 떨어져 갖추지 않고 있다. - ORVR 밸브를 비롯, OBD시스템, 캐니스터 장착 불필요② 디젤 연료 필터 장착 (수분리 기능/연료히팅 기능/이물질 필터링기능) - 디젤 연료 시스템에서 연료 필터가 중요한 한 이유 중의 하나로써 디젤 연료에 흡수된 물을 디젤 필터를 통하여 검출 해내야 한다.(디젤 연료는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고압 분사화 되어가는 디.. 2019. 3. 13. 18. LPI(Liquid Petroleum Injection) 연료 공급 System [자동차 샤시] 18. LPI(Liquid Petroleum Injection) 연료 공급 System [자동차 샤시]1. 주요 부품의 구성 1) LPI 인젝터- 고압연료라인을 통해 연료를 분배 및 액상 상태로 연료를 분사 2) 연료펌프 모튤- 연료펌프(BLDC)와 멀티밸브로 구성, 탱크내 LPG를 펌프에 의해 고압 액상 송출 및 리턴 3) 레귤레이터 유닛- 연료 컷 솔레노이드 밸브, 온도, 압력센서가 장착되며 차압(5bar 차이)을 유지 4) LPI 연료 공급 호스(파이프)- LPG 연료라인은 외부온도 변화에 따라 기화력이 큰 만큼 PVC 재질의 배관을 사용함 5) 펌프 드라이버 어셈블리- 펌프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5단 제어하는 기능(425,1000,1500,2000,2500rpm)2. LPI 시스템 구성 그림.. 2019. 3. 12. 17. 자동차 캐니스터(Canister) 용어 정리 [자동차 용어: 섀시/샤시 용어] 17. 자동차 캐니스터(Canister) 용어 정리 [자동차 용어: 섀시/샤시 용어]1. 흡착 (Load) 캐니스터의 유입구 (Load Pipe)측에 연료증발가스를 도입시키면 활성탄 표면 및 기공 안에 연료증발가스가 포착되는 현상을 말한다2. 탈기 (Purge)캐니스터의 대기방출구(Drain Pipe)측에 공기를 송풍 하여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연료증발 가스를 분리한다.3. Canister bed volume 캐니스터 내에 장입되는 활성탄의 총부피를 말한다.4. 방출현상 (Breakthrough) 캐니스터로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는 캐니스터 내의 활성탄에 일정량 흡착되고 나면, 더 이상 흡착되지 못하는 연료증발가스가 점차 증가하여 캐니스터의 대기방출구(Drain Pipe)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말.. 2018. 1. 16. 16.자동차 플라스틱 연료 탱크 시스템(Plastic Fuel Tank System)의 구성 및 부품의 주요 기능[자동차 연료 공급 시스템] 16.자동차 플라스틱 연료 탱크 시스템(Plastic Fuel Tank System)의 구성 및 부품의 주요 기능[자동차 연료 공급 시스템]자동차 연료 탱크 시스템은 자동차 내연기관인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에 연료를 저장/공급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림1. 자동차 연료 탱크의 구성 연료 탱크 시스템(Fuel Tank System)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연료의 저장 - 연료의 엔진 연소실까지의 운반 - 연료 공급 압력의 유지 - 탱크 내 증발 가스 누출 방지 - 탱크 내 증발 가스 정화 - 탱크 내 증발 가스 재연소 연료 탱크의 재질 - 강철(Steel) : 재질 가격 저렴, 녹 발생으로 인한 재질 노후화 빠름 -플라스틱(Plastic) : 부품 경량화 및 탱크 성능에 유리 연료 탱크의 .. 2017. 12. 24. 15. 자동차 주행 거리계의 오차 원인과 대책 15. 자동차 주행 거리계의 오차 원인과 대책일반적으로 자동차 주행 거리계는 3가지 정도의 원인으로 인하여 실 주행 거리와 주행 거리계와의 오차가 발생한다. 다음 3가지 원인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자.주행거리계 자체나 속도계 고장이런 경우는 속도계 케이블 접속 상태가 불량하거나, 속도계나 구동 기어 불량으로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속도계의 속도 시험으로 속도계의 불량 여부를 검증 할 수가 있다. 타이어 크기 변경에 따른 주행거리계의 오차일반적으로 출고 시에 장착된 타이어에서 직경 즉 회전 반경이 다른 타이어로 변경했을 때 주행 거리의 오차가 발생한다. 변속기나 종감속 기어 변경에 따른 주행거리계의 오차일반적으로 오프로드 운전자들이 원래 장착 타이어를 훨씬 크기가 큰 타이어로 교체.. 2015. 12. 21. 14. 현대 자동차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소개 현대 자동차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 소개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목적은 무엇인가요?타이어의 공기압 경보장치는 타이어 공기압이 정비 규정값이 이하 일 때 계기판에서 자동으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경고등을 점등 시켜 줍니다. 그러면 운전자는 정비소나 주유소에 가서 문제가 되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확인 후에 공기압을 규정값으로 다시 설정해 줘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Tire Pressure)은 왜 중요할까?타이어 공기압은 단순히 자동차의 승차감 뿐 만 아니라 타이어의 수명, 타이어의 편마모, 제동력, 자동차 연료 소모에도 .. 2015. 12. 9.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승차인원과 적재하중을 맞추어 앞뒤 바퀴에 적절한 제동력을 자동을 분배한다.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적용 시 안정된 브레이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이다.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장착 시스템이전의 고정식 비례 유압 밸브(Proportioning Valve) 대신 ABS와 EBD를 함께.. 2015. 11. 30. 12. 용도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종류 12. 용도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종류일반적으로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용도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럼 자동차 브레이크 용도와 종류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자.1. 주 브레이크(Brake)주 브레이크(Brake)는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속시키거나 정시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작동 시키므로 풋브레이크(foot brake)이고 한다. 주 브레이크의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유압식, 진공 배력식, 공기 배력식, 공기 브레이크가 있다.사진1. 주차 브레이크 및 유압 브레이크(주 브레이크) 2.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는 자동차를 정지한 상태로 유지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손으로 작동시키므로 핸.. 2015. 11. 28. 11.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의 장점 및 특정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1.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의 장점 및 특정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1. 알루미늄 휠 특징1) 외부 충격에 깨지지 않고 적당이 변형되기에 안전성에 유리2) 내식성 또는 외관이 보기 좋다.3) 열전도율이 높아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현상 및 베이퍼 록(Vapor Lock) 현상 억제4) 경량화가 가능하여 연비 및 승차감 향상과 타이어 로드 홀딩에 장점이 있다.2. 알루미늄 휠의 경량화에 따른 영향휠 질량이 크면 회전 운동 운동 관성도 크게 되어 정속 주행에 유리하지만 가감속을 자주하는 차량에는 불리하여 가속 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가감속 및 연비 향상에 유리하고, 현가장치의 스프링 아래 질량이 낮아 로드 홀딩.. 2015. 11.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