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학습/자동차 개발 및 설계25

6. 자동차 제조 CYCLE TIME 이해와 경비 원가절감 검토 6. 자동차 제조 CYCLE TIME 이해와 경비 원가절감 검토 1) 자동차 제조 CYCLE TIME 개념 ▷ CYCLE TIME : 자동차 제품의 생산을 위해 해당 공정에서 정해진 순서로 작업하며 한 사이클 도는데 필요한 시간 ▷ MAN HOUR : 1 사람이 1 시간 동안 일할 수 있는 작업량 ▷MACHINE HOUR : 1 기계가 1 시간 동안 일할 수 있는 작업량 2) CYCLE TIME 용도 ▷ 자동차 원가 계산 : - 부품 1개당 노무비, 경비의 계산 기준 - 시간당 노무 임률 à 경영의사 결정에 반영 - CYCLE TIME 절감을 통한 원가절감 ▷ 작업지시와 생산성 분석 - 몇 명이 몇 대를 몇 시간 동안 작업 완료, 작업자의 능률과 생산성 분석 가능 ▷ 생산관리 - 생산 계획 제품 수량 *.. 2021. 1. 19.
자동차 제조업에서 노무비(인건비) 개념 및 계산 자동차 제조업에서 노무비(인건비) 개념 및 계산 1. 노무비의 개념 및 계산방법 1) 노무비의 개념 가공비 : 제품 제조과정에서 소요된 노무비, 경비의 합계액 노무비 : 제품을 생산하는 직간접으로 소요된 노동력에 대하여 지불하는 임급, 급여, 상여금 등의 가치 노무비의 종류 (1) 직접 노무비 – 직접생산활동에 계속적으로 종사하는 인원에 대해 지급하는 급여 (2) 간접 노무비 – 생산활동의 지원과 관리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인원에 대한 급여 직접 노무 인원 : 생산현장에서 일하는 인원 중 직접적인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인원 간접 노무 인원 : 생산지원의 역할을 하는 인원 예) 지게차 운전, 공장설비 수리, 품질검사를 하는 인원, 현장반장, 자재, 개선, 생산관리, 품질관리, 보전, 생산기술 2) 노무비의 .. 2021. 1. 13.
23. 제조물 책임법 23. 제조물 책임법 제조물책임법(製造物責任法, Product Liability, PL법)은 제조되어 시장에 유통된 상품(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그 상품의 이용자 또는 제3자(=소비자)의 생명, 신체나 재산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제조자 등 제조물의 생산, 판매과정에 관여한 자의 과실 유무에 관계없이(=무과실) 제조자 등이 그러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는 법리를 말한다.여기서 소비자의 손해는 확대손해를 뜻하므로, 제조물책임법의 도입에는 소비자보호의 차원을 더욱 향상시킨다는 목적이 명확히 확인된다. 일반적으로 상품책임, 생산물책임, 생산자책임과 제조물책임 등의 용어가 쓰이고 있으나 법률용어로서 제조물책임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제조물책임 법리는 원래 시장에 제품을 제조하여 유통시킨 제조업자가 .. 2019. 4. 26.
22.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22.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복합소재 자동차(1500cc기준) 1대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복합수지는 약 50kg이고 자동차 이외에도 전자, 가전부품 에도 사용되고 있다. 복합수지 개발 목적 우리가 사용하는 수지(플라스틱)는 중합되어 나오는 그 자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이상의 물성이 요구될 때는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필요한 물성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가령 폴리프로필렌이라는 수지의 강성(외부힘에 견디는 힘)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섬유를 첨가하게 됩니다. 유리섬유는 콘크리트 속 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불에 잘 타는 소재인데 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불에 잘 타지 않는 소재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복합수지는 이처럼 각 원료의 특성들을 잘 조합하여 .. 2019. 3. 30.
21.중국 CCC 인증 변경 사항 공지(2018-06-15) 21.중국 CCC 인증 변경 사항 공지(2018-06-15)중국 국가 인증 승인 감독 관리 위원회 고시 발표일: 2018-06-15 2018년 제11호 시장 관리 총국 국가가 감독을 감찰하는 것에 대해 대대적인 개혁을 실시하다 강제 생산품 인증 목록 및 실시 방식 공고 강제적인 제품 인증 제도 개혁을 위하여 시장의 주체적 책임을 한층 강화하고, 제도적인 교역 원가를 더욱 강화하여, 하는 것(국가공고[2018] 3번)에 대해, 현재 강제적인 제품 인증 목록 및 실시 방식에 대해 아래와 같이 조절한다. 1.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강제적인 제품 인증 관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본 제품은 공고문 작성일로부터 일부 품목(첨부 파일 1)에 대해 강제적인 제품 인증을 실시하지 않으며, 지정 인증 기관은 이미 발행된 강제.. 2019. 2. 26.
20. IMDS(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소개 및 입력 지침 20. IMDS(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소개 및 입력 지침 거의 모든 세계 자동차 회사는 환경 오염 및 사람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IMDS라는 국제 자동차 재료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협력업체의 생산 부품의 재료를 입력해야 합니다. 협력사의 부품 정보 입력은 2,3차사 및 소재업체도 포함 됩니다. 또한 이 부품은 개발 전 Pre-series 전에 반드시 IMDS를 승인을 받아야 각 나라에서 생산 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IMDS 및 CAMDS의 차이점이다. 아래 글 중간에 현대기아 IMDS 입력 메뉴얼도 첨부하였으니 필요한 사람은 다운 받아 가세요. IMDS CAMDS 비 고 개발자 EDS CATARC 공식 오픈 200.. 2019. 2. 23.
19. CAMDS(China Automotive Material Data System) 소개 및 입력 개요 19. CAMDS(China Automotive Material Data System) 소개 및 입력 개요 CAMDS를 알아 보기 이전에 국제 자동차 부품 재료 시스템인 IMDS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IMDS (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는 자동차 산업의 재료 데이터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Audi, BMW, Daimler, EDS (2008년도 DXC Technology에 인수 합병됨), Ford, Opel, Porsche, VW과 Volvo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습니다. 이후에 더 많은 회사들이 가입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자동차 메이커들도 IMDS 가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IMDS에서는 자동차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재료들을 수집, 분.. 2019. 2. 22.
18. 자동차용 재료의 종류와 적용 현황 18. 자동차용 재료의 종류와 적용 현황자동차에 쓰이는 재료는 강(鋼), 주철, 소결재료, 동(銅), 아연(亞鉛), 알루미늄등의 금속재료로부터 고무, 유리, 플라스틱, 접착제, 섬유등의 비금속재료까지 많은 종류가 있다.1. 자동차재료 필요 조건① 대량공급과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것 ② 대량생산에 적합한 가공생산성과 품질균일성이 있을것③ 코스트가 싸고 값이 안정적이어야 한다.또한 설계상의 필요 특성으로 인장강도, 충격강도, 피로강도, 강성, 비중과 그밖에 사용부위에 다른 내마모성, 마찰특성, 내식성, 내후성, 열전도성, 열팽창성, 전기적특성, 자기적 특성 등이 요구된다.한편 생산기술상의 필요 특성으로는 주조성, 단조성, 성형성, 피삭성, 열처리성, 용접성, 접합성, 공작상의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2. 자.. 2019. 2. 19.
17. 국제 자동차 품질경영시스템 표준 17. 국제 자동차 품질경영시스템 표준 International Automotive Quality Management System Standard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6. 10) IATF 16949 자동차 산업 생산 및 관련 서비스 부품 조직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International Automotive Task Force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6. 10) Table of Contents목차머리말-자동차산업QMS표준역사목표인증주의사항 서문 0.1 일반사항0.2품질경영원칙 0.3 프로세스접근방법0.3.1 일반사항0.3.2 계획-실행-검토-조치0.3.3 리스크기반사고0.4 기타 경영시스템 표준과의 관계품질경영시스템–.. 2019. 1. 21.
16. 자동차 경량화 재료의 종류 및 특징 16. 자동차 경량화 재료의 종류 및 특징차량 경량화에 쓰이는 주재료는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티타늄(Ti), 고장력강 등의 합금 금속 재료와 플라스틱 및 세락믹과 같은 비 금속 재료가 있다.1) 알루미늄(Al)주로 엔진본체와 주변 관련 부품, 알로이 휠, 라디에이터 및 인터쿨러와 같은 열교환기, 서스펜션의 컨트롤 암, 범퍼 내부의 빔 등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국내 고급차를 중심으로 후드 및 트렁크 리드의 차체에도 알루미늄을 적용하고 있다. ①장점 - 다이케스트와 단조 압출 가공법이 우수하다. - 알루미늄 합금의 재활용시 에너지 소비율(3%)이 낮아 리사이클 용이하다. ②단점 - 부품의 프레스 성형성이 나쁘다. - 판금 작업성이 나쁘다. - 용접성이 나쁘다. 2) 마그네슘(Mg) 마그네슘은 .. 2019.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