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차체 용어55

55. 브레이징 용접(Braze Welding) [자동차 용어 : 차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2. 5.
54. 모노코크타입 [자동차 용어: 차체/상용차체 생산기술] 54. 모노코크타입 [자동차 용어: 차체/상용차체 생산기술]차체 Floor와 샤시 프레임이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는 차량 형태이다. 2018. 1. 7.
53. 돌기용접(Projection Welding, Stud Welding) [자동차 용어: 차체] 53. 돌기용접(Projection Welding, Stud Welding) [자동차 용어: 차체]용접 할 금속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돌기 부분을 만들고 압력을 가하면서 전류를 흘러 돌기 부분에 압력과 전류를 집중시켜 용접하는 방법으로 주로 Weld Nut의 용접에 사용한다. 2016. 8. 4.
52. 대차 System(Skid System) [자동차 용어: 차체] 52. 대차 System(Skid System) [자동차 용어: 차체]조립치구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Conveyor 또는 Rail로 공정간을 이동하는 형태로 급전, 급기 방식을 이용하는 생산방식이다. 2016. 7. 19.
51. 단품검구(Checking Fixture) [자동차 용어: 차체] 51. 단품검구(Checking Fixture) [자동차 용어: 차체]단품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치구 2016. 7. 15.
50. 단품 [자동차 용어: 차체] 50. 단품 [자동차 용어: 차체]일반적으로 Press에서 성형된 단일 부품이다. 2016. 7. 15.
49. 단차(Flush) [자동차 용어: 차체] 49. 단차(Flush) [자동차 용어: 차체]부품과 부품 사이의 높이 차이 2016. 7. 14.
48. 단독 T/out (Manual T/out) [자동차 용어: 차체] 48. 단독 T/out (Manual T/out) [자동차 용어: 차체]Jig를 각 공정별로 실시하는 시험 가동 2016. 7. 8.
47.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 47.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자동차 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기능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는 자동차의 아래쪽 뒷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승용차의 경우 트렁크룸을 형성하고, 자동차 뒷좌석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방 충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리어 플로어(Rear Floor)에는 배기구 끝단을 최종 지지하는 공간이다.자동차 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주요 판넬(Panel)들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는 리어 플로어(Rear Floor),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익스텐션 리어 판넬(Extension Rear Panel), 백판넬(Back Panel)로 이루어져 있다. 리어 플.. 2016. 4. 29.
46.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 46.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언더 보디(Under Body)의 기능모노코크(Monocoque) 보디의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는 프레임 부착 차의 프레임에 상당하는 부분으로서 프런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크로스 멤버(Cross Member), 플로어 판넬(panel)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진 및 서스펜션,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멤버가 받는 외력은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에서 보디 사이드에, 필러부가 받은 외력은 루프 등에 응력이 분산되므로 이러한 멤버류는 모노코크(Monocoque) 보디에 있어서 강도유지를 위한 대단히 중요한 재료이다. 따라서 .. 2016.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