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학습/자동차 개발 및 설계25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1. 알루미늄 합금 차체 사용 이유 자동차 중량은 안전성과 운전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가했으나, 이와 반비례하여 연비의 악화를 가져다 주었다. 경량화, 고강성,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알루미늄 차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것은 알루미늄과 다른 금속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면 차체의 요구 성능을 만족 시키고, 연비 개선 및 환경 규제 대응에 유리하다. 2. 알루미늄 차체의 구조 1) 모노코크(Monocock) 구조 강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압출 성형재를 이용한다. 3) 하이브리드 구조 모노코크와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로 주조,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의 3가지 방법을 조합해서 제조한다 3. 알루미늄 합금 차.. 2015. 11. 5.
6. 자동차 사고 회피 기술에 관한 소개 6. 자동차 사고 회피 기술에 관한 소개 1. 정의 차량 주행 주행 충돌 사고 등이 발생을 사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 또는 회피하는 기술을 능동 안전(Active Safety)기술 또는 예방 안전 기술이라 한다. 이에 반해 수동 안전(Passive Safety)기술은 사고 발생 후 충돌 이후의 피해를 경감하는 기술로서 충돌 안전 기술이라 한다. 2. 능동 안전 기술 1) 능동 안전기술의 정의 운전자의 인지, 판단, 조작을 지원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이다. 2) 주요 기술 ① Night-Vision, Active Headlight, 야간 시각 보조 등의 안전 지원 기술 장치 ② 카네비게이션(Car-Navigation) 장치에 정보 통신기술 업데이트 하여 정보 제공, 음.. 2015. 11. 4.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1. 개 요 차체는 엔진롬, 펜더, 필러, 플로워, 루프레일, 트렁크룸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안전성과 거주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이다. 2. 차체 설계 요구 조건 1) 안전하고 편안한 거주 공간 확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고,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함과 더불어 쾌적함과 정숙성을 제공해야 한다. 2) 아름다운 스타일링 엔진이나 레이아웃에서 차체의 구조나 형상 등이 아름다운 스타일링과 기능을 양립시켜야 한다. 3) 주행에 필요한 부품 탑재 엔진 및 서스펜션 시스템 등에 적당한 강도와 강성이 필요하다. 4) 충돌성능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차체의 변형 에너지로 변화될 때 탑승자에게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 1) 충돌 성능의 기술동향 CAE.. 2015. 11. 4.
4. 차체의 안전 설계와 존 바디(Zone Body) [자동차 용어: 차체/설계/개발] 4. 차체의 안전 설계와 존 바디(Zone Body) [자동차 용어: 차체/설계/개발] 1. 정의 차체는 충돌 시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해 다양한 존(Zone, 구역)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차체를 존 바디(Zone Body) 또는 세이프티 존 바디(Safety Zone Body0라고 한다. 2. 종류 1) 세이프티 존(안전 확보 구역, Safety Zone) 차량 충돌 시 변형을 최소화하여 탑승자의 안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2) 크럼플 존(Crumple Zone) 차량 충돌 시 전/후면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2015. 11. 3.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1. 개요 승용차의 차체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되면 일체 구조, 프레임 장착 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있다. 이 중에서 모노코크 바디는 일체 구조로 된 차체이며,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에 유리하게 때문에 대부분의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모노코크이 바디의 개발 추세는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를 위해 TWB와 고장력 강판 등을 적용하고 있다. 2. 모노코크 바디의 구조 박판으로 섀시 부품을 직접 바디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설치부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멤버를 갖추거나 부분 프레임에 섀시 부품을 설치한 후 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1) 장점 차실을 낮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높.. 2015. 10. 29.
2. 스마트 에어백(Smart Airbag system)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개발/자동차 안전] 2. 스마트 에어백(Smart Airbag system)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개발/자동차 안전] 1. 정의 다양한 충돌 조건 및 충돌 발생 시에 탑승객의 인명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고 상황에 맞는 불필요한 에어백(airbag)의 전개를 방지하여 원가를 줄일 수 있다. 1) 승객 분류장치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 및 탑승 유무, 핸들 및 크러시 패드와의 거리, 무게 등을 계산 후 전개 여부 및 전개 팽창 속도를 조절하는 시스템 2) 사고미연 방지 사고 발생 시 위험 신호를 운전자에게 알려 주거나 에어백의 전개 속도 등을 고려하여 승객을 보호한다. 2. 충돌 안전기술 충돌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후에 탑승자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술 1)에어백 종류: 사이드, 루프, 필라, 후면, 커튼, 무릎, .. 2015.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