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산기술 용어93 82. 생력화/생인화/소인화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82. 생력화/생인화/소인화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낭비의 개선으로 소요인력 절감 (낭비를 대기로 전환시켰을 뿐 인원절감 효과 없음)생인화개선에 따른 잉여인력을 작업의 재편성으로 인원 절감소인화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Tact Time 변경 및 작업자 수를 비례적으로 변경 2019. 2. 20. 81. 제로준비교체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81. 제로준비교체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준비교체 작업 중 설비를 정지시켜 놓고 하는 작업(내작업)을 3분이내에 할 수 있는 준비교체작업을 의미 2019. 2. 18. 79. 준비교체시간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79. 준비교체시간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최종공정의 가공이 끝나고 제품이 용기에 적재 완료된 시점부터 공구를 교환한 후 시험 생산을 거쳐 최초의 양품이 생산될 때까지의 시간 * 내준비 작업 : 설비를 정지시키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작업 * 외준비 작업 : 설비를 세우지 않고도 설비의 가동과 관계없이 할 수 있는 작업 ( 준비교체를 위한 사전준비, 후처리 작업 ) 2019. 2. 17. 78. 설비종합효율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78. 설비종합효율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부하시간- 1일 또는 월간에 거쳐 제품생산을 위해 설비에 부하를 주는 시간 * 부하시간 = 조업시간 - 계획정지 LOSS가동시간 - 부하시간에서 설비고장, 기종교체, 작업준비, 그 밖의 정지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설비가 실제 가동한 시간 * 가동시간 = 부하시간 - 정지 LOSS정미 가동시간- 가동시간에 대해 순간적인 정지, 속도저하에 의한 LOSS를 제외한 이론적인 설비사양상의 가동시간가치 가동시간- 정미가동시간에서 불량품, 수정품에 빼앗긴 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실제로 양품(가치)을 만들어낸 시간시간가동율- 가동시간/부하시간성능가동율- 정미가동시간/가동시간 = 이론 C/T* 생산수량 / 가동시간양품율- 가치가동시간/정미가동시간 = (생산수량 - 불량수.. 2019. 2. 16. 77. 설비의 6대 로스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77. 설비의 6대 로스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용어] - 정지로스 : ①고장·정지로스 ②준비·조정로스 - 속도로스 : ③공전·일시정지로스 ④ 속도저하로스 - 불량로스 : ⑤불량·수리로스 ⑥초기수율로스 2019. 2. 16. 68. 버퍼(Buffer) [자동차 용어: 공통] 68. 버퍼(Buffer) [자동차 용어: 공통]후 공정에서의 설비고장 및 Line중단에 관계없이 계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Line간 Balance 조정을 위하여 여유공정을 만드는 것 2018. 5. 28. 67. 반제품 수출(Semi Knock SKD Down)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67. 반제품 수출(Semi Knock Down, SKD)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당사 완성차 조립용 부품을 현지조립공장에 반제품 형태로 수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현지공장에서 차량 조립이 도장 → 의장 혹은 의장공장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차체부품의 공급단위는 조립된 상태(BIW) 또는 도장 완료된 상태(Painted Body)이다 2018. 2. 3. 170. 미세굴곡(Surface Distortion) [자동차 용어: 프레스금형] 170. 미세굴곡(Surface Distortion) [자동차 용어: 프레스금형] 프레스 판넬의 제품면상에 발생하는 0.2-0.02mm 정도의 미소한 버클 링현상으로 제품의 외관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형불량 중 하나이다. 이는 성형 시 국부적으로 형상의 급변에 의해 응력의 불균일이 발생하여 성형이 완료된 시점에서 스프링백에 의한 미세굴곡으로 나타낸다 2018. 1. 28. 418. 노화(Aging, Ageing) [자동차 용어: 페인트/도장] 418. 노화(Aging, Ageing) [자동차 용어: 페인트/도장]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도막의 성질, 성능, 겉모양이 나빠지는 것 2018. 1. 21. 187. 캐니스터(Canister) 주요 기능 및 성능 용어 [자동차 용어: 샤시/섀시 용어] 187. 캐니스터(Canister) 주요 기능 및 성능 용어 [자동차 용어: 샤시/섀시 용어]1) 흡착 (Load) [자동차 용어: 샤시/섀시 용어]캐니스터의 유입구 (Load Pipe)측에 연료증발가스를 도입시키면 활성탄 표면 및 기공 안에 연료증발가스가 포착되는 현상을 말한다.2) 탈기 (Purge) [자동차 용어: 샤시/섀시 용어]캐니스터의 대기방출구(Drain Pipe)측에 공기를 송풍 하여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연료증발 가스를 분리한다.3) Canister bed volume [자동차 용어: 샤시/새시 용어] 캐니스터 내에 장입되는 활성탄의 총부피를 말한다.4) 방출현상 (Breakthrough [자동차 용어: 샤시/새시 용어]캐니스터로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는 캐니스터 내의 활성탄에 일정량 흡착.. 2018. 1. 6.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