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개발 용어 사전79 20. IMDS(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소개 및 입력 지침 20. IMDS(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 소개 및 입력 지침 거의 모든 세계 자동차 회사는 환경 오염 및 사람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IMDS라는 국제 자동차 재료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협력업체의 생산 부품의 재료를 입력해야 합니다. 협력사의 부품 정보 입력은 2,3차사 및 소재업체도 포함 됩니다. 또한 이 부품은 개발 전 Pre-series 전에 반드시 IMDS를 승인을 받아야 각 나라에서 생산 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IMDS 및 CAMDS의 차이점이다. IMDS CAMDS 비 고 개발자 EDS CATARC 공식 오픈 2001년 2010년 사용 국사 전세계 자동차 관련 산업 중국내 OEM 및 Supplier 지원 언어.. 2019. 2. 23. 147. 이상원인에 의한 산포 [자동차 용어: 자동차 일반] 147. 이상원인에 의한 산포 [자동차 용어: 자동차 일반]공정으로부터의 데이터가 불안정하고 향후를 예측할 수 없는 분포를 형성한다면, 시스템의 부작연적인 것에 생긴 것임. (일상적이지 않은 원인 : 이상상태 공정) 2019. 2. 19. 146. 우연원인에 의한 산포 [자동차 용어: 자동차 일반] 146. 우연원인에 의한 산포 [자동차 용어: 자동차 일반]생산조건이 엄격한 관리상태하에서도 어느 정도의 불가피한 변동원인 즉,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산포를 말함. (우연원인의 변동만 있는 공정: 관리상태 공정) 2019. 2. 18. 81. 제로준비교체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81. 제로준비교체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준비교체 작업 중 설비를 정지시켜 놓고 하는 작업(내작업)을 3분이내에 할 수 있는 준비교체작업을 의미 2019. 2. 18. 80. 싱글준비교체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용어] 80. 싱글준비교체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용어]준비교체 작업중 설비를 정지시켜 놓고 하는 작업(내작업)을 최소한 한자리 숫자의 분(minutes)단위인 9분59초 이내에 완료하는 것을 의미 2019. 2. 17. 78. 설비종합효율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 78. 설비종합효율 [자동차 용어: 생산기술 용어]부하시간- 1일 또는 월간에 거쳐 제품생산을 위해 설비에 부하를 주는 시간 * 부하시간 = 조업시간 - 계획정지 LOSS가동시간 - 부하시간에서 설비고장, 기종교체, 작업준비, 그 밖의 정지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설비가 실제 가동한 시간 * 가동시간 = 부하시간 - 정지 LOSS정미 가동시간- 가동시간에 대해 순간적인 정지, 속도저하에 의한 LOSS를 제외한 이론적인 설비사양상의 가동시간가치 가동시간- 정미가동시간에서 불량품, 수정품에 빼앗긴 시간을 제외한 시간으로 실제로 양품(가치)을 만들어낸 시간시간가동율- 가동시간/부하시간성능가동율- 정미가동시간/가동시간 = 이론 C/T* 생산수량 / 가동시간양품율- 가치가동시간/정미가동시간 = (생산수량 - 불량수.. 2019. 2. 16. 145. 공수(노동생산성) [자동차 용어: 일반 ] 145. 공수(노동생산성) [자동차 용어: 일반 ]작업공수 - 생산에 투입된 총시간으로 투입공수라고도 함.실동공수 - 실제 생산작업에 소요된 시간(작업공수 – 손실공수)손실공수- 설비고장 및 자재결품 등으로 인한 라인정지손실과 수정작업, 결품작업 등의 비정지손실, 그리고 교육 및 PILOT 생산 등의 비생산 작업으로 구분됨.표준공수- 소정의 생산량에 투입된 표준시간의 합계 ( = ∑(모델별 표준시간 ×생산량))노동생산성효율(%)- 표준공수/작업공수*100 = 실동율 * 작업효율실 동 율(%)- 실동공수/작업공수*100작업효율(%)- 표준공수/실동공수*100 2019. 2. 15. 6.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PPAP,생산부품승인절차) 6.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PPAP,생산부품승인절차)PPAP 승인 절차란 자동차 부품 개발 과정이 양산 전에 부품의 성능 및 시험항목 등에 대하여 완성차로부터받는 승인 절차입니다. 주로 GM이나 쌍용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면 현대자동차는 이런 부품 승인 절차를ISIR(Initial Sample Inspection Report) 승인라고 합니다. PPAP란 무엇인가? - 설계기록 및 Spec’이 업체에 의해 이해여부 파악(부품의 타당성 검증) =>PARTS Validation - 업체 제조공정에서 당사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 결정(공정의 타당성 검증) =>PROCESS Validation Ⅰ. PPAP 필요성 • QS 9000 요구사항.. 2019. 2. 14. 138. RPN(Risk Priority Number ,위험 우선수) [자동차 용어: 일반] 138. RPN(Risk Priority Number ,위험 우선수) [자동차 용어: 일반]치명도(Severity), 발생도(Occurrence), 검출도(Detection) 평가항목들의 곱이며 FMEA에서 권고조치의 순서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됨 2019. 2. 10. 135.Q-map(Quality Map ,품질지도)[자동차 용어: 일반] 135.Q-map(Quality Map ,품질지도)[자동차 용어: 일반]제조단계별로 중요 품질과 이에 영향을 주는 공정조건등과의 관계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 2019. 2. 9.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