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개발 용어 사전79

145. 공수(노동생산성) [자동차 용어: 일반 ] 145. 공수(노동생산성) [자동차 용어: 일반 ]작업공수 - 생산에 투입된 총시간으로 투입공수라고도 함.실동공수 - 실제 생산작업에 소요된 시간(작업공수 – 손실공수)손실공수- 설비고장 및 자재결품 등으로 인한 라인정지손실과 수정작업, 결품작업 등의 비정지손실, 그리고 교육 및 PILOT 생산 등의 비생산 작업으로 구분됨.표준공수- 소정의 생산량에 투입된 표준시간의 합계 ( = ∑(모델별 표준시간 ×생산량))노동생산성효율(%)- 표준공수/작업공수*100 = 실동율 * 작업효율실 동 율(%)- 실동공수/작업공수*100작업효율(%)- 표준공수/실동공수*100 2019. 2. 15.
6.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PPAP,생산부품승인절차) 6.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PPAP,생산부품승인절차) PPAP 승인 절차란 자동차 부품 개발 과정이 양산 전에 부품의 성능 및 시험항목 등에 대하여 완성차로부터 받는 승인 절차입니다. 주로 GM이나 쌍용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면 현대자동차는 이런 부품 승인 절차를 ISIR(Initial Sample Inspection Report) 승인라고 합니다. PPAP란 무엇인가? - 설계기록 및 Spec’이 업체에 의해 이해여부 파악(부품의 타당성 검증) =>PARTS Validation - 업체 제조공정에서 당사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 결정(공정의 타당성 검증) =>PROCESS Validation Ⅰ. PPAP 필요성 • QS 9000 요.. 2019. 2. 14.
138. RPN(Risk Priority Number ,위험 우선수) [자동차 용어: 일반] 138. RPN(Risk Priority Number ,위험 우선수) [자동차 용어: 일반]치명도(Severity), 발생도(Occurrence), 검출도(Detection) 평가항목들의 곱이며 FMEA에서 권고조치의 순서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됨 2019. 2. 10.
135.Q-map(Quality Map ,품질지도)[자동차 용어: 일반] 135.Q-map(Quality Map ,품질지도)[자동차 용어: 일반]제조단계별로 중요 품질과 이에 영향을 주는 공정조건등과의 관계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 2019. 2. 9.
134. PV(Product Validation Test Plan ,제품 유효성 확인 시험 계획)[자동차 용어: 일반] 134. PV(Product Validation Test Plan ,제품 유효성 확인 시험 계획)[자동차 용어: 일반]제품개발과정에서 제품 및 공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및 검토 계획을 말함 2019. 2. 8.
130. Pp, Ppk(Long Term Process Capability Analysis(장기공정능력분석)[자동차 용어: 일반] 130. Pp, Ppk(Long Term Process Capability Analysis(장기공정능력분석)[자동차 용어: 일반]공정이 장기적으로 안정되어 있을 때, 그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의 산포를 평가하는 척도이며, 중심값의 목표값과의 치우침까지 고려 시에 Ppk를 사용 2019.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