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섀시 용어49 27. 현대자동차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자동화 수동변속기,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 트레인/기관]에 관한 소개 27. 현대자동차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자동화 수동변속기,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 트레인/기관]에 관한 소개 이번에는 현대차 혹은 기아차 자동차 카탈로그에 있는 변속기 선택란에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라는 변속기 용어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자. 이 변속기는 사실상 수동변속기이나 수동으로 변속하는 과정 없이 신속하게 클러치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 변속하게 만들어 수동변속기의 연비와 자동 변속기의 편의성을 동시에 추구한 장치로 보시면 됩니다. AMT(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Manual Transmission)의 좋은 연비와 A/T(Auto Transmission)의.. 2015. 11. 13. 8. Tire Heat Separation 현상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8. Tire Heat Separation 현상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요 타이어의 이상 발열로 인하여 벨트의 온도가 125℃ 정도가 되면 타이어를 구성하고 있는 고무나 코드 등이 열화 되거나 접착력이 약해져서 타이어의 내구력을 저하시키고, 물질이 용해되거나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2. 발생 원인 타이어(Tire)에 축적되는 열과 방출되는 열이 균형을 이루지 못해 발생하므로 이상 발열이 주 원인앋. 1) 타이어의 공기압이 규정보다 낮을 때 2) 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이 클 때 3) 차량의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 8. Tire Heat Separation, 타이어 열 파열 현상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요 타이어의 이상.. 2015. 11. 9. 7. Flat Spot 현상 [자동차 전문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7. Flat Spot 현상 [자동차 전문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요 장기 주차 시 차량 하중에 의해 타이어의 변형이 발생하고, 차량이 다시 주행해도 정상적으로 복원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복원되나 복원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2. 종류 일시적 Flat Spot, 영구적인 Flat Spot 3. 영향 차체 및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등에 진동을 유발시켜 승차감이 저하되고 타이어의 이상 마모가 발생한다. 4. 발생 원인 Flat Spot 현상은 타이어 코드의 변형에 영향을 받는다. 타이어 코드는 타이어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는 재료이며, 내부 공기압에 견디면서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온에서 변형되기 쉬워서 고온 지역에서 장.. 2015. 11. 9. 6.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 현상 [자동차 개발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6.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 현상 [자동차 개발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정의 브레이크를 반복하여 계속 조작하면 드럼(drum)과 슈(shoe)에 마찰열이 축적되어 제동력이 떨어지는 현상 2. 원인 브레이크 작동 시 드럼과 슈의 마찰열이 발생하여 열변형에 의한 페이드가 생긴다. 또한 드럼(drum)과 라이닝(lining)의 온도 상능에 의한 마찰 계수가 저하해서 페이드 현상이 발생한다.--------------------------------------------------------------------------------------------------------------중고 자동차 점검 및 매매 지원 서비스(www-korea-autonews.com)(htt.. 2015. 11. 8. 134.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자동차 용어:섀시] 134.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자동차 용어:섀시]타이어와 휠에 무게의 불균형이 있으면 바퀴가 돌아갈 때 원심력으로 회전축이 흔들리는데, 이같은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 휠에 붙여 평형을 유지하게 하게 하는 일종의 납.이것은 납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으로 림 플런지에 붙이는 것과 휠에 붙이는 것이 있다. 2014. 10. 22. 119.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자동차 용어 : 섀시] 119.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자동차 용어 : 섀시]바퀴가 앞뒤 방향으로 조금 움직이는 형식의 서스펜션.승차감이 매우 우수하며 강건한 A형 타입의 암보다는 I형 타입의 암이나 텐션 로드 방식을 채택한다. 2014. 10. 20. 95. 레디어스 로드(Radius Rod) [자동차 용어: 섀시] 95. 레디어스 로드(Radius Rod) [자동차 용어: 섀시]반경간의 차축과 프레임을 서스펜션 지지하는 버팀대이다.용도에 따라 추진 및 제동의 응력을 받는 것, 구동 토크를 받는 것, 보강용 등이 있다. 2014. 10. 17. 92. 킥다운 현상(Kick Down) [자동차 용어: 섀시] 92. 킥다운 현상(Kick Down) [자동차 용어: 섀시]자동변속기 차량의 주행 시 엑셀 페달을 급히 깊숙히 밟았을 때 순간적으로 1속 낮은 저속 기어로 변속되면서 급가속 되는 현상. 2014. 10. 17. 91. 등속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 [자동차 용어: 섀시] 91. 등속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 [자동차 용어: 섀시]전륜 구동차의 앞차축으로 사용되는 조인트.구동축과 일직선상이 아닌 피동축 사이에 회전 각속도의 변화가 없이 동력 전달이 균등하게 되도록 한 자재이음으로서, 꺽임각이 큰 자재이음을 축의 양끝에 부착하여 회전 각속도의 변화를 상쇄시키는 것이다. 종류로서는 제파타입, 베필드타입, 와이스타입, 트랙터 타입 등이 있다.보통 C.V 조인트라고 한다.1) 이중십자이음(Double Cross Joint)2개의 십자축을 마주 대고 중심 요크로 결합한 형식2) 제파 자재이음(Rzeppa Joint)동력 전달용의 볼을 볼 레테이너에 삽입하고 다른 한축은 하우징을 만들어 볼 리테이너와 하우징을 결합한 형식.3) 벨타입 자재이임(Bell Typ.. 2014. 10. 17. 90. 리어 액슬(Rear Axle) [자동차 용어: 섀시] 90. 리어 액슬(Rear Axle) [자동차 용어: 섀시]최종 감속 장치와 차동 장치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후차축 어셈블리. 2014. 10. 1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