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과 자동차 부품 원가를 설계하자
1. 자동차 부품 원가의 발생과 원가의 결정
1) 자동차 원가의 반영 시점
원가를 사전에 반영하지 않으면?
재료비↑, 판매가 ↑, 가격 경쟁력↓, 글로벌 시장 경쟁력↓
2) 자동차 설계 영역
3) 원가의 결정
- 원가의 발생 전에 원가의 결정이 있다.
- 제조활동에 들어간 후 통제 가능한 원가는 5%에 지나지 않는다.
4) 원가 기획
- 일반적으로 제품의 재료비가 약 원가의 65% 정도임, 제품 혁신에 따라 재료비 증가 경향
- 원가기획 : 어느 단계, 어느 항목에서 관리할 것인지를 기획하여 관리
2.설계 단계별 원가 영향
1) 설계의 단계
□상품기획 → 설계구상 단계 → 설계 단계 → 시작~생산 단계
▷상품기획 단계 : 상품 기획 시 상기 포인트를 감안하여 실시
불필요한 사양은 가능한 지양함으로 원가 관리 가능
▷설계구상 단계 : 설계 이전에 목표원가 및 목표성능을 만족하는 구상을 해야만
후속 단계에서 설계 변경을 줄일 수 있음
▷설계 단계 : 설계 이후에 목표원가를 달성하지 못한 부품이 있다면 그 부품은
목표원가 달성 실패, 설계 착수 이후, 설계변경을 통한 목표원가 달성은
어려움
▷시작~생산 단계 : 설계단계 이전까지 목표원가를 확보해 놓지 않으면 생산 이후
회사가 원하는 이익을 확보하지 못함
3. 부품 중량과 원가
1) 자동차 설계 추세
고품질, 저비용
고연비의 무공해 자동차 : 환경경영의 영향
2) 고성능, 고연비 추구
주철재(Fe), 강재(S20c) → AL DIE CAST’G
'자동차 개발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과. 효과적인 원가절감 노하우 (0) | 2021.01.24 |
---|---|
8과 자동차 부품 원가를 설계하자 (0) | 2021.01.23 |
7. 일반 관리비 원가관리의 핵심사항 (0) | 2021.01.22 |
5.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경비의 정의 및 원가 반경 (0) | 2021.01.14 |
2. 자동차 원가의 개념 (0) | 2021.01.10 |
1.자동차 부품 원가 개론 (0) | 2021.01.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