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노코크4

54. 모노코크타입 [자동차 용어: 차체/상용차체 생산기술] 54. 모노코크타입 [자동차 용어: 차체/상용차체 생산기술]차체 Floor와 샤시 프레임이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는 차량 형태이다. 2018. 1. 7.
14. 자동차 차체의 구성과 제조 자동차 차체의 구성과 제조1. 자동차 차체 개요자동차는 여러 가지 부품과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나, 무게와 재료의 대부분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자동차 차체는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엔진 관련 부품은 주철 계통이 주를 이루어 있으며, 일부 부품에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도 사용되고 있다. 차체는 다른 부품이 장착되는 골격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엔진과 섀시 관련 부품이 장착되고, 실내에는 크래쉬 패드(Crash pad)를 비롯한 자동차 앞뒤 시트와 문짝이 모두 차체에 장착이 된다. 또한 차체는 전후 좌우에 충돌 발생 시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는 충돌 완충의 역할도 하고 있다. 자 이제 차체의 기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 보았다. 그러면 차체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자. 일반적으.. 2016. 5. 4.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1. 알루미늄 합금 차체 사용 이유 자동차 중량은 안전성과 운전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가했으나, 이와 반비례하여 연비의 악화를 가져다 주었다. 경량화, 고강성,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알루미늄 차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것은 알루미늄과 다른 금속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면 차체의 요구 성능을 만족 시키고, 연비 개선 및 환경 규제 대응에 유리하다. 2. 알루미늄 차체의 구조 1) 모노코크(Monocock) 구조 강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압출 성형재를 이용한다. 3) 하이브리드 구조 모노코크와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로 주조,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의 3가지 방법을 조합해서 제조한다 3. 알루미늄 합금 차.. 2015. 11. 5.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1. 개요 승용차의 차체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되면 일체 구조, 프레임 장착 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있다. 이 중에서 모노코크 바디는 일체 구조로 된 차체이며,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에 유리하게 때문에 대부분의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모노코크이 바디의 개발 추세는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를 위해 TWB와 고장력 강판 등을 적용하고 있다. 2. 모노코크 바디의 구조 박판으로 섀시 부품을 직접 바디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설치부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멤버를 갖추거나 부분 프레임에 섀시 부품을 설치한 후 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1) 장점 차실을 낮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높.. 2015.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