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브레이크6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 13. 전자제어 제동력 분배시스템,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승차인원과 적재하중을 맞추어 앞뒤 바퀴에 적절한 제동력을 자동을 분배한다. EBD(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적용 시 안정된 브레이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이다.전자제어 제동력 분배 시스템(EBD, Electronic Brake force Distribution) 장착 시스템이전의 고정식 비례 유압 밸브(Proportioning Valve) 대신 ABS와 EBD를 함께.. 2015. 11. 30.
12. 용도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종류 12. 용도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종류일반적으로 자동차 브레이크(Brake)의 용도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럼 자동차 브레이크 용도와 종류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자.1. 주 브레이크(Brake)주 브레이크(Brake)는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속시키거나 정시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서 작동 시키므로 풋브레이크(foot brake)이고 한다. 주 브레이크의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유압식, 진공 배력식, 공기 배력식, 공기 브레이크가 있다.사진1. 주차 브레이크 및 유압 브레이크(주 브레이크) 2.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는 자동차를 정지한 상태로 유지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손으로 작동시키므로 핸.. 2015. 11. 28.
6.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 현상 [자동차 개발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6.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 현상 [자동차 개발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정의 브레이크를 반복하여 계속 조작하면 드럼(drum)과 슈(shoe)에 마찰열이 축적되어 제동력이 떨어지는 현상 2. 원인 브레이크 작동 시 드럼과 슈의 마찰열이 발생하여 열변형에 의한 페이드가 생긴다. 또한 드럼(drum)과 라이닝(lining)의 온도 상능에 의한 마찰 계수가 저하해서 페이드 현상이 발생한다.--------------------------------------------------------------------------------------------------------------중고 자동차 점검 및 매매 지원 서비스(www-korea-autonews.com)(htt.. 2015. 11. 8.
4. 제이크(Jake Brake) [자동차 개발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4. 제이크(Jake Brake) [자동차 개발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정 의 엔진 헤드(Engine Head)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신호에 의해서 ECU가 제이크 브레이크 단품에 적용된 마그네틱(자석, Magnetic Valve)밸브를 작동시켜 압출 때 발생하는 압력을 강제 해제함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엔진 브레이크이다. 2. 장 점 기계식 엔진에 적용되는 배기 브레이크 대비 성능이 우수한 보조 제동 장치로 확실한 제동력을 확보해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풋 브레이크(Foot Brake) 작동 횟수 저하로 운전자의 편이성 향상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페이드(Fade) 현상을 방지하여 확실한 제동력을 확보한다. 2015/11/05 - [자동차 학습/자동차 섀시] - 1. 브레이크(Bra.. 2015. 11. 7.
3. 브레이크 베이퍼 록(Brake Vapor Lock) [자동차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3. 브레이크 베이퍼 록(Brake Vapor Lock) [자동차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정 의 연료 회로나 브레이크 유압 회로 내에 생기는 현상으로 사용 액체가 증발되어 송유, 압력 전달이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이다. 2. 원인 긴 내리막길 주행 과도한 유압 브레이크 사용 시 드럼과 라이닝의 끌림, 잔압의 저하, 불량 오일의 사용, 오일의 변질에 의한 비점저하 등이 원인이다. 3. 현상(증상)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작동이 둔해진다. 4. 대책 높은 비점, 잔압유지, 질 좋은 오일 사용, 브레이크 라인이 과열되지 않게 해야 한다. 2015. 11. 6.
2. 작동 방식으로 본 브레이크(Brake) 종류 [자동차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2. 작동 방식으로 본 브레이크(Brake) 종류 [자동차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기계식 브레이크 브레이크 페달이나 브레이크 레버로 조작하며, 브레이크 조작력을 로드 또는 케이블 등에 의하여 마찰 제동한다. 2. 유압식 브레이크 피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힘을 유압에 전달하여 보다 큰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1) 장점 제동력이 모든 바퀴에 균일하게 전달되고, 마찰 손실이 적으며, 조작력이 작아도 된다. 2) 단점 오일 파이프 등이 파손되어 오일이 누출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기능이 손실되어 위험하다. 3. 배력식 브레이크 중량이 큰 자동차나 고속 주행 중의 자동차는 주행 관성이 크므로 기관의 흡기 부압이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조작력을 증대시켜 강력한 제동력.. 2015.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