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차체14 51. 단품검구(Checking Fixture) [자동차 용어: 차체] 51. 단품검구(Checking Fixture) [자동차 용어: 차체]단품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치구 2016. 7. 15. 117. 단류선(Grain Flow) [자동차 용어: 소재, 기계] 117. 단류선(Grain Flow) [자동차 용어: 소재, 기계]단조 소재의 길이방향 초기 섬유 조직이 단조에 의해 변화된 모양 2016. 7. 9. 14. 자동차 차체의 구성과 제조 자동차 차체의 구성과 제조1. 자동차 차체 개요자동차는 여러 가지 부품과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나, 무게와 재료의 대부분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자동차 차체는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엔진 관련 부품은 주철 계통이 주를 이루어 있으며, 일부 부품에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도 사용되고 있다. 차체는 다른 부품이 장착되는 골격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엔진과 섀시 관련 부품이 장착되고, 실내에는 크래쉬 패드(Crash pad)를 비롯한 자동차 앞뒤 시트와 문짝이 모두 차체에 장착이 된다. 또한 차체는 전후 좌우에 충돌 발생 시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는 충돌 완충의 역할도 하고 있다. 자 이제 차체의 기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 보았다. 그러면 차체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자. 일반적으.. 2016. 5. 4. 47.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 47.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자동차 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기능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는 자동차의 아래쪽 뒷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승용차의 경우 트렁크룸을 형성하고, 자동차 뒷좌석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방 충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리어 플로어(Rear Floor)에는 배기구 끝단을 최종 지지하는 공간이다.자동차 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의 주요 판넬(Panel)들차체 리어 플로어(Rear Floor)는 리어 플로어(Rear Floor),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익스텐션 리어 판넬(Extension Rear Panel), 백판넬(Back Panel)로 이루어져 있다. 리어 플.. 2016. 4. 29. 46.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 46.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언더 보디(Under Body)의 기능모노코크(Monocoque) 보디의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는 프레임 부착 차의 프레임에 상당하는 부분으로서 프런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크로스 멤버(Cross Member), 플로어 판넬(panel)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진 및 서스펜션,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멤버가 받는 외력은 자동차 언더 보디(Under Body)에서 보디 사이드에, 필러부가 받은 외력은 루프 등에 응력이 분산되므로 이러한 멤버류는 모노코크(Monocoque) 보디에 있어서 강도유지를 위한 대단히 중요한 재료이다. 따라서 .. 2016. 4. 28. 45. 자동차 사이드 보디(Side Body)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 45. 자동차 사이드 보디(Side Body)의 구조 [자동차 차체 구조]자동차 사이드 보디는 자동차의 차체의 측면으로서 거의 대부분은 개구부로 구성되어 프런트 보디, 루프 등과 결합해 자동차 실내의 측면을 형성한다.자동차 사이드 보디(Side body)의 주요 부품 구성자동차 사이 보드의 주요 구성부품은 프런트(Front), 센터(Center), 리어(Rear)의 각 필러(Pillar)와 휠 하우스(Wheel House)를 포함한 쿼터 패널이며, 이들 부품의 위쪽으로는 사이드 루프 레일 및 루프 패널, 아래쪽으로는 사이드 실(Side sill) 및 플로어(Floor)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 중 언더 보디에서 받은 하중을 보디의 상부에 분산함과 동시에 전, 후, 좌, 우 방향의 구부림이나 비틀림을 .. 2016. 4. 27. 44.자동차 프런트 보디의 구조 [자동차 용어: 차체 구조] 44. 자동차 프런트 보디(Front body)의 구조 [자동차 용어: 차체 구조]자동차 프런트 보디(Front Body)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펜더 에이프런, 대시패널 등을 상호 접합 용접한 구조로서 보디에 설치되는 부품 중에서 가장 무거운 엔진이나 주행성능에 필요한 현가장치, 조향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차체 정밀도와 강도 및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사이드 멤버는 단면 형태를 크게 또는 강판을 두껍게 하거나 보강재를 추가해서 강도를 확보한다. 펜더 에이프런은 휠 하우스의 역할을 하면서 현가장치의 스트럿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스트럿의 설치 부분은 두꺼운 패널로 보강하고 사이드 멤버나 대시패널에 결합시켜 서스펜션으로부터 받은 힘을 분산하고 있다.대시패널은 실내와의 .. 2016. 4. 26.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들이 있고 그 구조도 매우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용차 보디의 기본 형상별로 구분했으며 그 기능 및 형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세단(Sedan) 고정된 객실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객실에 2열의 좌석을 설치한 4∼6인용의 승용차다. 도어(door)의 수에 따라 2도어 세단, 4도어 세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통 4 도어 승용차를 세단이라고 부른다.□ 하드 톱(Hard Top)원래는 금속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객실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센터 필러(Center Pillar)가 없는 세단형 승용차를 말한다. 루프 부위를 탈부착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쿠페(Coupe)2도어 세단보다 약간 .. 2016. 4. 9.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1. 개 요 차체는 엔진롬, 펜더, 필러, 플로워, 루프레일, 트렁크룸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안전성과 거주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이다. 2. 차체 설계 요구 조건 1) 안전하고 편안한 거주 공간 확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고,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함과 더불어 쾌적함과 정숙성을 제공해야 한다. 2) 아름다운 스타일링 엔진이나 레이아웃에서 차체의 구조나 형상 등이 아름다운 스타일링과 기능을 양립시켜야 한다. 3) 주행에 필요한 부품 탑재 엔진 및 서스펜션 시스템 등에 적당한 강도와 강성이 필요하다. 4) 충돌성능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차체의 변형 에너지로 변화될 때 탑승자에게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 1) 충돌 성능의 기술동향 CAE.. 2015. 11. 4.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1. 개요 승용차의 차체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되면 일체 구조, 프레임 장착 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있다. 이 중에서 모노코크 바디는 일체 구조로 된 차체이며,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에 유리하게 때문에 대부분의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모노코크이 바디의 개발 추세는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를 위해 TWB와 고장력 강판 등을 적용하고 있다. 2. 모노코크 바디의 구조 박판으로 섀시 부품을 직접 바디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설치부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멤버를 갖추거나 부분 프레임에 섀시 부품을 설치한 후 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1) 장점 차실을 낮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높.. 2015. 10.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