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굴착기 굴삭기 포크레인 구매 요령

자동차 사양시스템

by 자동차 역사가 2024. 9. 14. 20:27

본문

반응형

굴착기 굴삭기 포크레인 구매 요령

굴착기 정의
굴착 방식에 따른 분류
굴착기 주요 구성
주행 방식에 따른 분류
굴착기 규격
굴착기 용도
굴착기 구매 포인트

굴착기 규격 및 면허 취득 절차

 

굴착기 굴삭기


골착기/골삭기/포크레인 정의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한자로 掘鑿機 또는 굴삭기(掘削機)라고 하며, 영어명은 excavator 엑스커베이터이다. 한국에서는 삽차(삽車)  혹은 포클레인(영어: Poclain←포클랭)으로 불린다. 포크레인은 영어로 excavator(excavator loader)라고 한다. 영어로 excavate는 발굴하다,구멍을 파내다 라는 뜻이다 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내는 기계이다. 이것은 명사형을 굴착기(excavator)라고 한다. 대한민국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에서는 "무한궤도 또는 타이어식으로 굴착장치를 가진 자체중량 1톤 이상의 것"으로 정의한다. 최초의 근대적인 기계식 스팀 굴착기는 1835년 미국의 윌리엄 오티스(William S. Otis)가 발명했다. 참고로, 윌리엄 오티스는 현대식 엘리베이터의 발명자 엘리샤 오티스와 사촌지간이다.

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굴착기 정의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해 경찰청으로부터 도로교통법에 의한 면허를 발급받아야 하는 건설기계 11종에 해당하지 않아 도로를 주행할 수 없어 덤프트럭 등에 싣고 이동하여야 한다.

굴착 방식에 따른 분류
백호(backhoe)
백호는 힌지와 붐, 유압실린더, 바가지(bucket) 등으로 이루어진 굴착 기구이다. 백호가 붙은 굴착기까지 백호로 부르기도 한다. 기계 삽을 단 자동차 형태인 것을 특히 삽차(-車)라고 하며 프랑스의 상표에서 온 포클레인(프랑스어: Poclain 포클랭)이라는 말도 일반명사화 되어 널리 쓰인다.

굴착기 주요 구성
관절 부위에 있는 유압 피스톤의 왕복 작용으로 굴착기가 움직이게 된다. 이 피스톤을 움직이는 힘은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발휘하게 하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주요 구조는 유압실린더 붐, 암, 바가지(버킷, bucket)로 구성된 작업장치가 상부 회전체(하우스)에 붙어 있고, 상부 회전체는 360° 회전할 수 있으며, 기관, 조종장치, 유압탱크, 조절 밸브, 선회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굴착기 굴삭기 동작원리


하부 주행체
작업장치와 상부회전체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굴착기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주행 방식에 따른 분류


무한궤도식
주행모터에 의해서 스프로켓과 연결된 트랙을 회전시켜 이동한다. 지반이 균일하지 않거나, 무른 땅, 수중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지반 지지력이 좋아서 작업능률이 뛰어나다. 하지만 스스로 먼 거리 이동이 불편한 단점도 있다.

타이어식
고무 바퀴를 달고 먼거리를 자체 동력으로 고속 이동할 수 있어 기동성이 좋다.

굴착기 규격
바가지에 담을 수 있는 흙의 체적(버킷 용량)으로 구분하며, 시가지에서 주로 쓰이는 것은 0.7입방미터 크기로 “07” 크기로 부른다. 골목길에서 전선이나 상수도 등의 굴착에 쓰이는 작은 크기는 0.2입방미터 이하 크기로 “02” 따위로 부른다. 대규모 토공 현장에는 2.0m3크기의 굴착기도 흔히 볼 수 있다.

작업능력
토목 엔지니어는 굴착기가 시간당 퍼낼 수 있는 토석의 부피(m3/hr)를 계산한다. 이것을 시간당 작업능력 Qs라고 하는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다.

굴착기 버켓용량 공식

q : 버킷용량(m3)
k : 버킷계수
f : 토량환산계수
Es : 굴착기의 효율
Cms : 굴착기가 한 사이클 작업하는 데 걸리는 시간(초)

굴착기 용량 계산식



작업중인 백호와 덤프트럭
굴착기로 파낸 흙은 덤프 트럭에 담아 운반하는 경우가 있다. 덤프트럭의 시간당 작업능력(Qt, m3/hr)을 안다면 굴착

굴착기 백호

기 한 대당 덤프트럭이 몇 대가 필요할지(N) 계산할 수 있다.


활용 및 자격면허
학력, 연령, 성별 제한이 없거나, 일부 중장비학원 또는 직업전문학교에 교육 훈련과정을 이수할 수 있으며, 국가기술자격 취득해야 장비를 사용 할 수 있다.

굴착기 용도

굴착기 굴삭기 포크레인


굴착 (Excavation): 굴착기는 토사를 파내는 주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건설 현장에서 토양과 암석을 파내고 이동시키는 작업에 활용됩니다. 도로, 교량, 터널 등의 건설에서 토사를 제거하거나 지반을 조성합니다.
운반 (Transport): 굴착기는 땅을 파는 굴착 작업 뿐만 아니라 크레인 기능도 수행합니다. 건설 자재를 이동시키는 작업에도 활용됩니다. 건물의 기초를 파는 작업이나 자재를 다른 위치로 옮기는 작업에 굴착기가 필요합니다.
파쇄 (Crushing): 굴착기는 브레이커나 크램쉘과 같은 작업 장치를 부착하여 암석이나 콘크리트를 파쇄 하는데도 사용됩니다. 광업 분야에서 광석을 파내고 운반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굴착기 구매 포인트 
이와 같이 굴착기의 여러 가지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여기에서 가장 주요한 핵심 포인트는 사용자의 용도에 맞는 굴착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도에 맞는 굴착기의 선택 후 굴착기의 용도에 맞는 골착기의 규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주요 용도에 맞는 골착기는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굴착기 크기별 분류:
미니 굴착기 (Mini Excavator): 이 기계는 소규모 건설 현장이나 협소한 공간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정원 가꾸기, 배관 및 전기 선 설치, 소량의 토사 제거 등에 적합하며, 휠바퀴 또는 크롤러 바퀴로 이동합니다.

소형 굴착기 (Compact Excavator): 중간 규모의 작업에 알맞은 이 굴착기는 건물의 기초 작업, 토사 운반, 정밀 작업 등에 활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크롤러 바퀴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중형 굴착기 (Mid-Size Excavator): 다양한 작업에 적합한 중형 굴착기는 건물 철거, 도로 건설, 지반 정리 및 대량의 토사 제거에 사용됩니다. 주로 크롤러 바퀴를 이용합니다.

대형 굴착기 (Large Excavator):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필요한 이 기계는 광산 작업, 다리 건설, 터널 파기 및 대량의 토사 이동 등에 활용됩니다. 크롤러 바퀴를 사용하며, 뛰어난 작업 성능을 자랑합니다.

 

굴착기 규격 및 면허 취득 절차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은 굴착기를 운전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인증하는 국가 기술자격증입니다.
굴착기의 규격은 다양한데, 주로 무게와 크기에 따라 분류됩니다:
1톤 미만 굴착기: 이 경우 면허가 필요 없어 누구나 운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농기계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사고 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톤 이상 ~ 3톤 미만 굴착기: 이 규모의 굴착기는 중장비 학원에서 12시간(이론 6시간 + 실습 6시간)의 교육과정을 거친 후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시험을 통과하면 면허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12.
3톤 이상 굴착기: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시군 구청의 교통과나 차량 등록 사업소를 방문하여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까지 발급받아야 굴착기 운전이 가능합니다.
자격증 취득 절차: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성됩니다. 필기시험은 60분 동안 총 60개의 객관식 문제를 풀어야 하며, 실기시험은 주행과 굴착 능력을 평가합니다.
실기시험에서 60점 이상을 취득하고 합격하면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이 발급됩니다. 그러나 이 자격증만으로는 굴착기를 운전할 수 없으며, 굴착기 조종사 면허도 필요합니다. 자격증과 함께 운전면허증을 지참한 후 시군 구청을 방문하여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까지 발급받아야 굴착기 운전이 가능해요3.
요약하자면,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굴착기의 규격과 면허 취득 절차를 숙지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굴착기에 대한 개요와 구매 요령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굴착기 구매자는 위의 내용을 참조하여 구매하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여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굴착기를 구매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