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고차 정비5

1. 자전거 바텀브라켓(Bottom Bracket) [자전거 구동계열] 1. 자전거 바텀브라켓(Bottom Bracket) [자전거 구동계열] ▶ Bottom Bracket Shell Widths (비비쉘의 종류와 폭의 규격) 아래의 표는 현재 자전거 프레임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프레임의 비비쉘 폭 사이즈이다. 프레임에 BB(Bottom Bracket)를 장착할 때에는 프레임의 비비쉘 폭과 비비의 액슬, 컵의 사이즈를 일치 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BB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일반형에서, 사각BB, 옥타링크 방식BB, 외장형BB, 3016BB(프레임에 3016베아링 삽입방식)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Standard Width(mm) Application ISO 68 로드,산악,트렉,트렉킹,자전거 등에 쓰임 ltalian 70 로드, 트렉 자전거에 쓰임 ISO 73 산.. 2020. 12. 20.
겨울철 자동차 월동 장비 겨울철 자동차 월동 장비 안녕하세요! 겨울철이면 자동차도 월동 장비가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제때에 자동차 월동 장비를 준비하지 않으면 자동차의 성능과 수명에도 영향을 주고 심지어 고장에 이르기까지 합니다. 그렇다면은 겨울철에는 어떤 월동 자동차 장비가 필요한 것 까요? 일단 겨울철에는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누어야 할 것 같습니다. 첫째는 폭설이 내리는 경우입니다. 폭설에 필요한 장비는 다들 잘 아시겠지만 스노우 타이어로 바꿔 달거나 아니면 눈이 오는 것에대비하여 스노우 체인이 필요합니다. 최근 몇 년 간은 큰 눈이 오지 않아 스노우 타이어로 별도 교체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 됩니다. 그럼 대안은 무엇 일까요? 맞습니다. 소형 스노우 체인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온라인 마켓에서는 싸고.. 2020. 12. 16.
하이브리드 자동차 - 제어 기능 하이브리드 자동차 - 제어 기능 Mild Hybrid Electric Vehicle (MHEV) – control functions 이 기사에서는 기존의 비 하이브리드 차량과 비교했을 때 차이점과 일부 유사성에 초점을 맞춰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MHEV)의 가장 일반적인 파워트레인 제어 기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거의 예외 없이(예: 전기 구동/크리프) 다음의 파워트레인 제어 기능은 특정 하이브리드 아키텍처에만 국한되지 않고 대부분의 아키텍처에 공통적이다. 이 기사를 살펴보기 전에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와 특히 MHEV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음 기사를 읽어보십시오. Cold engine cranking 내연기관(ICE)은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기계적 구성부품을 가지고 있다.. 2020. 12. 15.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ild Hybrid)– architectures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ild Hybrid :MHEV)– architectures 이 기사에서는 MHEV(Middle Hybrid Electric Vehicles)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살펴보고, 연비와 주행성 측면에서 가능한 제어 기능 및 장단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다양한 유형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만드는 방법을 기억하려면 다음 기사를 읽어 보십시오. 〇 마이크로, 마일드, 풀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이해 〇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HEV) – 소개 구조, 위상 또는 구성에 의해 차량에 하이브리드 전기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의 위치를 파악한다. 전기 시스템과 차량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유일한 기계적 연결은 전기 기계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2020. 10. 5.
2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중 순수 전기식 파워스티어링(EPS) [자동차 개발: 샤시] 20.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중 순수 전기식 파워스티어링(EPS) [자동차 개발: 샤시] 최근 전기식 파워스티어링의 도입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연비향상 및 친환경 자동차 개발을 위하여이다.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은 기존 유압식에 비해 1/20의 에너지만 소모하고, 약 3% 정도의 연비 절감 효과가 있다 1.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이 탑재하는 이유 1) 필요한 에너지만 공급하고 탑재성이 좋다. 2) 부품수가 줄어들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3) 파워 스티어링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 4)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고성능/고기능의 조정이 가능하다. 2.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종류 전동식 유압 파워 스티어링(Electro-Hydraulic Power Steeering)과 순수 전기식 파워 스티어.. 2019.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