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고차 매매대행22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DMFC)는 메탄올을 직접, 전기화학 반응시켜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전해질은 이온 교환막에 인산을 담지 시킨 것이다. 작동 온도는 150℃로 비교적 저온이다. PEFC와 비교하여 개질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간소화와 부하 응답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반응 속도가 낮은 것에 의한 저출력 밀도, 다랑의 백금 촉매의 사용과 메탄올과 산화제의 Cross Over(고체 고분자막을 통과하는 것) 등의 단점도 있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는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음극과 양극이 위치한다. 음극에서는 메탄올과 물이 반응하여 수소 이온과 전자를 생성.. 2020. 10. 15.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수소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해 전류밀도가 큰 고출력 연료전지로서, 100℃ 미만의 비교적 저온에서 작동되고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빠른 시동과 응답특성,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소 이외에도 메탄올이나 천연가스를 연료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의 동력원으로서 적합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PEMFC는 무공해자동차의 동력원 외에도 분산형 현지설치용 발전, 군수용 전원, 우주선용 전원 등으로 응용될 수 있는 등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다양하다. PEMFC에 대한 연구는 1955년 미국의 GE에서 처음으로 시작되.. 2020. 10. 15.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개요 3세대 연료전지로 불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산소 또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로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써, 1937년에 Bauer와 Preis에 의해 처음으로 작동되었다.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특징은 탄화수소를 직접 전기 변환시킬 수 있는데 있다. 전해질은 안정화된 산화이트늄으로 가스가 스며들지 않은 산 이온이 효율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얇은 산화지르코늄 층이다. Cathode는 안정된 산화이트늄으로 된 지르코늄으로 만들어졌고, anode는 니켈-지르코늄 세라믹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전해질 전해질로서 신소재인 지르코니아(ZrO2)가 사용되며 작동온도가 700~1000℃로서 .. 2020. 10. 14.
용융탄산염 연료 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용융탄산염 연료 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용융탄산형 연료전지 장점 보통 제2세대 연료전지로 불리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와 마찬가지로 높은 열효율, 높은 친환경성, 모듈화 특성 및 작은 설치공간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650℃의 고온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인산형 연료전지(PAFC) 또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같은 저온형 연료전지에서 기대할 수 없는 추가적인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용융탄산 연료전지 전해질 전해질은 용융탄산염이 사용되고, 고온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백금 대신 저렴한 니켈촉매가 사용되며 백금 전극에서 피독물질로 사용되는 CO를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통해 연료로 이용한다. 니켈촉매의 사용으로 비용절감의 장점이.. 2020. 10. 13.
micro, mild, full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에 대한 이해 micro, mild, full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에 대한 이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차량은 여전히 가솔린 / 가솔린 또는 디젤과 같은 내연 기관 (ICE)으로 구동됩니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HEV)에는 내연 기관과 전기 모터의 두 가지 이상의 추진 동력원이 있습니다. 자동차 제조업체가 HEV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세 가지 주요 이유가 있습니다. ▶ CO2 배출 감소 (연료 소비 감소) ▶ 배기 가스 독성 배출 감소 ▶ 파워 트레인 역학 개선 (총 출력 및 토크 증가) HEV의 파워 트레인은 ICE 차량의 모든 구성 요소와 순수 전기 자동차 (EV)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합니다. 또한 하이브리드화 수준에 따라 엔진용.. 2020. 10. 8.
하이브리드 자동차(Mechanism)의 분류 하이브리드 자동차(Mechanism)의 분류 1) 직렬형 하이브리드(Series Hybrid System) ① 정의 직렬형은 엔진-발전기-모터가 직렬로 연결되고, 엔진의 동력은 모든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최종적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엔진을 최적의 상태로 작동시키면서 주행이 가능하고, 주행거리가 비교적 길다. ② 장단점 - 장점 유독성 가스(CO, HC, NOx)의 배출이 최소화 되면, 별도의 변속 장치가 필요 없다 또한 연비는 가솔린 자동차 대비 2배 정도 좋아진다. 제어가 용이하다. - 단점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므로 대용량의 모터와 배터리가 필요하며, 따라서 중량과 부피가 증가하고, 원가와 패키지 레이아웃에 불리하다. 또한 교류로 발전하면서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 2020. 10. 6.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ild Hybrid)– architectures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ild Hybrid :MHEV)– architectures 이 기사에서는 MHEV(Middle Hybrid Electric Vehicles)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살펴보고, 연비와 주행성 측면에서 가능한 제어 기능 및 장단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다양한 유형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만드는 방법을 기억하려면 다음 기사를 읽어 보십시오. 〇 마이크로, 마일드, 풀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이해 〇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HEV) – 소개 구조, 위상 또는 구성에 의해 차량에 하이브리드 전기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의 위치를 파악한다. 전기 시스템과 차량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유일한 기계적 연결은 전기 기계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 2020. 10. 5.
LIC(리튬이온 캐패시터) 전지 LIC(리튬이온 캐패시터) 전지 1. 전지의 개요 리튬이온 캐패시터(LIC : Lithium-ion Capacitor)는 전기이중층 캐패시터(EDIC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와 리튬이온 2차 전지(LIB)의 특징을 겸비하는 하이브리드 캐패시터(Hybrid Capacitor)이며, 고 에너지 밀도, 신뢰성, 긴수명, 안정성으로 인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이온 캐패시터란 음극에 리튬 첨가 가능한 탄소계 재료를 이용하고, 양극에서는 통상의 전기이중층 콘데서에 이용되고 있는 활성탄, 혹은 폴리머계 유기 반도체 등의 캐패시터 재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캐패시터이다.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 리튬이 전해액의 주액과 동시에 국부 전지를 형성해, 음극의 탄소계 재료에 리.. 2020. 5. 26.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카드 전지) 2020/05/06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이차 전지의 개념 및 종류 2020/04/12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니켈 수소 전지(Ni-MH) 2020/04/06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lithium ion) 배터리(Battery) 2020/03/23 - [자동차 학습/전기자동차] - 리튬인산철(LiFePO4) 전지 아래 니켈 카드뮴 전지 외 배터리는 위 링크 참조 바랍니다.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카드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의 역사 대형의 Ni-Cd 전지는 2차 대전 중에 유럽에서 개발되었고, 소형의 Ni-Cd 전지는 또한 유럽에서 1960년대 유럽에서 상용화 되었다. Ni(OH)2를 양극으로, Cd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전지이며, 알카리 수.. 2020. 5. 12.
전기자동차, 전기 자건거 배터리 용량 계산 전기자동차, 전기 자건거 배터리 용량 계산 Ah/Wh 시간당 방전량(암페어)/시간당 소모 전력량(와트)로 표시하는데, 사실은 같은 단위이다. 500Wh라는 배터리 용량은 500W의 출력으로 페달을 밟았을 때, 1시간 지속된다는 의미이다. Ah로 변환법은 W(전력) = V(전압) * A(전류) 전기 자전거 배터리의 전압은 36V이며, 이를 근거로 계산하면, 500Wh 용량의 배터리 용량은 13.8Ah, 즉 138000mAh라고 할 수 있다. 아이폰 8 플러스의 배터리 용량이 2675mAh이니 아이폰 플러스를 51.6번 완충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이다. 그럼에도 고출력 모터는 전략을 많이 소모하여 보통 2시간 ~3시간 정도 지속 된다. ----------------------------------------.. 2020.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