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52. 디젤 엔진의 연료 분무 시 조건 52. 디젤 엔진의 연료 분무 시 조건디젤 엔진의 연료 분무 시 조건은 다음과 같다.1. 무화연료의 기화와 연소는 연료 입자가 미세할수록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연료 입자를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놓는다. 무화란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무의 연료 입자를 미세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미세하면 반대로 관통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2. 관통도디젤 엔진의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미립자가 가능한 연소실의 먼 곳까지 골도록 관통하여 도달 할 수 있는 힘이다. 이와 같이 연료 분무 입자가 압축된 공기 중을 관통하여 도달하는 능력을 관통력이라고 한다. 연료 입자가 지나치게 미세하면 압축 공기 속을 관통 할 수 없어 노즐 주위에 연료 입자들이 모여 불완전 연소나 디젤 노킹이 발생한다.3. 분포디젤 엔진의.. 2015. 12. 28. 51. 백래쉬(Back Rash) [자동차 전문용어: 엔진/PT, 파워트레인] 51. 백래쉬(Back Rash) [자동차 전문용어: 엔진/PT, 파워트레인]백래쉬(Back Rash) 정의기어이와 기어이의 간근을 말한다.백래쉬(Back Rash)의 적을 때 장점백래쉬(Back Rash) 간극이 적으면 구동기어와 종동 기어의 시작과 끝점이 일치하여 동력 전달을 정교하게 할 수 있다.백래쉬(Back Rash)가 클 때 단점큰 힘을 급격히 전달하면 충격 흡수가 없어 기어이를 손상 시킬 수 있다. 백래쉬(Back Rash)가 충격을 충수하는 기능을 한다. 2015. 12. 24. 50. 연료 차단(연료 컷, Fuel Cut) [자동차 전문용어: 자동차엔진/기관] 50. 연료 차단(연료 컷, Fuel Cut) [자동차 전문용어: 자동차엔진/기관]연료 차단(연료 컷, Fuel Cut) 목적일반적으로 내연 기관의 자동차는 자동차 연료의 절감과 엔진의 보호를 위하여 일정한 조건이 되면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를 차단하게 된다. 이 때 ECU에서 인젝터에 분사 신호를 보내지 않아 연료를 차단하게 된다. 감속 할 때 연료 차단(연료 컷, Fuel Cut)연비의 개선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하여 엔진 회전 속도가 비교적 높고, 스로틀 밸브가 전부 닫혀 있는 엔진 브레이크 상태에서 소량의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에 연료 분사를 정지하여 불필요한 연료를 소모하지 않도록 한다. 연료 차단 후 엔진 회전수가 일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연료 분사를 재개한다. 주로 내리막길에서 이런 감속 연료.. 2015. 12. 24. 19. 탄소 중립 인증 19. 탄소 중립 인증환경부와 기술원은 이러한 서비스 개선과 함께, 기존 탄소성적표지를 발전시켜 ‘탄소중립'* 개념을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제품의 전 과정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배출권의 구매나 조림 등 그에 상응하는 노력으로 상쇄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ZERO)로 만들거나 일부를 줄이는 것 탄소배출량 인증제품이 탄소중립을 지켰을 경우 저탄소 제품으로 인정하는 방안과 외부감축 활동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제로(ZERO)로 만들 경우 별도의 ‘탄소중립 인증’을 부여하는 방안 등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 출처: 환경부 2015. 12. 23. 49. 자동차 배기관에 장착되는 산소센서(O2 Sensor)의 구조와 원리 자동차 배기관에 장착되는 산소센서(O2 Sensor)의 구조와 원리산소센서(O2 Sensor)의 기능(O2 Sensor)산소센서(O2 Sensor)(O2 Sensor) 배기 가스 중의 산소의 농도와 대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출력 전압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의 기준 신호를 제공한다. 산소 센서의 출력 전압은 혼합기가 희박할 때 약 0.1V를 발생하고, 혼합기가 농후할 때 약 0.9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산소센서(O2 Sensor)의 원리산소센서(O2 Sensor)는 한쪽은 배기가스에 접하고 다른 쪽은 대기 중의 신선한 산소와 접하여 혼합기가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농하거나 희박함에 따라 출력이 즉각적으로 변한다. 산소센서(O2 Sensor)는 정상적으로.. 2015. 12. 21. 15. 자동차 주행 거리계의 오차 원인과 대책 15. 자동차 주행 거리계의 오차 원인과 대책일반적으로 자동차 주행 거리계는 3가지 정도의 원인으로 인하여 실 주행 거리와 주행 거리계와의 오차가 발생한다. 다음 3가지 원인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자.주행거리계 자체나 속도계 고장이런 경우는 속도계 케이블 접속 상태가 불량하거나, 속도계나 구동 기어 불량으로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속도계의 속도 시험으로 속도계의 불량 여부를 검증 할 수가 있다. 타이어 크기 변경에 따른 주행거리계의 오차일반적으로 출고 시에 장착된 타이어에서 직경 즉 회전 반경이 다른 타이어로 변경했을 때 주행 거리의 오차가 발생한다. 변속기나 종감속 기어 변경에 따른 주행거리계의 오차일반적으로 오프로드 운전자들이 원래 장착 타이어를 훨씬 크기가 큰 타이어로 교체.. 2015. 12. 21.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