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17. 자동차 캐니스터(Canister) 용어 정리 [자동차 용어: 섀시/샤시 용어] 17. 자동차 캐니스터(Canister) 용어 정리 [자동차 용어: 섀시/샤시 용어]1. 흡착 (Load) 캐니스터의 유입구 (Load Pipe)측에 연료증발가스를 도입시키면 활성탄 표면 및 기공 안에 연료증발가스가 포착되는 현상을 말한다2. 탈기 (Purge)캐니스터의 대기방출구(Drain Pipe)측에 공기를 송풍 하여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연료증발 가스를 분리한다.3. Canister bed volume 캐니스터 내에 장입되는 활성탄의 총부피를 말한다.4. 방출현상 (Breakthrough) 캐니스터로 유입된 연료증발가스는 캐니스터 내의 활성탄에 일정량 흡착되고 나면, 더 이상 흡착되지 못하는 연료증발가스가 점차 증가하여 캐니스터의 대기방출구(Drain Pipe)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말.. 2018. 1. 16.
58. ECU에 입력되는 센서의 종류와 역할 [자동차 연료/배기 센서] 58. ECU에 입력되는 센서의 종류와 역할 [자동차 연료/배기 센서]1. AFS(Air Flow Sensor)흡입되는 공기량을 계측하여 기본 연료분사량, 기본 점화시기를 결정하는 센서2. CAS(Crank Angle Sensor)피스톤이 압축 상사점에 대하여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검출하여 엔진 회전수를 계산하고, 분사시가, 점화시기를 결하는 신호로 사용된다.3. BPS(Pressure Sensor)대기압을 감지하여 연료분사량, 점화시기를 보정한다.4. WTS(Water Temperature Sensor)냉각 수온을 검출하여 연료 분사량, 점화 진각도를 보정한다.5. Knocking SensorKnock를 감지하여 점화시기를 지연시킨다.6. #1 TDC(Top Dead Center) Sensor연료분사순.. 2018. 1. 12.
22.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SYSTEM 소개 22. ORVR(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SYSTEM 소개1. 정의ORVR이란 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의 약어로서 주유 중 대기로 방출 되는 HC Vapor를 1 Gallon당 0.2g으로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기존에 주유 시 대기로 방출되었던 HC Gas를 대기 방출을 억제한다.2. 기존 주유 시스템 문제점이전의 주유 시스템은 주유 시 Tank내 Gas르 모두 대기로 방출되어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유 시 연료 탱크(Fuel tank)내 Gas를 Canister(캐니스터)로 이송하여 HC Gas의 대기 방출을 방지한다.3. 규제치 1) ORVR : 2g/gal(Vapor) 2) .. 2018. 1. 2.
16.자동차 플라스틱 연료 탱크 시스템(Plastic Fuel Tank System)의 구성 및 부품의 주요 기능[자동차 연료 공급 시스템] 16.자동차 플라스틱 연료 탱크 시스템(Plastic Fuel Tank System)의 구성 및 부품의 주요 기능[자동차 연료 공급 시스템]자동차 연료 탱크 시스템은 자동차 내연기관인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에 연료를 저장/공급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림1. 자동차 연료 탱크의 구성 연료 탱크 시스템(Fuel Tank System)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연료의 저장 - 연료의 엔진 연소실까지의 운반 - 연료 공급 압력의 유지 - 탱크 내 증발 가스 누출 방지 - 탱크 내 증발 가스 정화 - 탱크 내 증발 가스 재연소 연료 탱크의 재질 - 강철(Steel) : 재질 가격 저렴, 녹 발생으로 인한 재질 노후화 빠름 -플라스틱(Plastic) : 부품 경량화 및 탱크 성능에 유리 연료 탱크의 .. 2017. 12. 24.
14. 자동차 차체의 구성(프런트/센터/리어 플로어:언더바디,사이드 보디 판넬) 자동차 차체의 구성과 제조 1. 자동차 차체 개요 자동차는 여러 가지 부품과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나, 무게와 재료의 대부분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자동차 차체는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엔진 관련 부품은 주철 계통이 주를 이루어 있으며, 일부 부품에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도 사용되고 있다. 차체는 다른 부품이 장착되는 골격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엔진과 섀시 관련 부품이 장착되고, 실내에는 크래쉬 패드(Crash pad)를 비롯한 자동차 앞뒤 시트와 문짝이 모두 차체에 장착이 된다. 또한 차체는 전후 좌우에 충돌 발생 시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는 충돌 완충의 역할도 하고 있다. 자 이제 차체의 기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 보았다. 그러면 차체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자. 일반.. 2016. 5. 4.
13. 모노코크 보디(Mono (monocoque body)의 구조 13. 모노코크 보디(Mono (monocoque body)의 구조 모노코크 보디의 독립된 프레임이 없고 박강판으로 제작된 멤버류를 보디의 일부로 해 조립한 것이다. 여기에 엔진, 현가장치, 조향장치 등을 직접 부착한 구조이며 현재 승용차 보디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모노코크 보디의 대표적인 것에는 계란 껍질형의 구조가 있다. 구조가 계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껍질 자체는 얇아도 이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간단히 갈라지거나 깨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누르는 힘이 껍질 전체에 퍼져 부분적으로는 작은 힘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외피구조’라고 말하고 비행기의 구조가 이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즉, 모노코크의 원래 의미는 ‘계란’ 등의 모양을 한 껍질 구조를 가리키며 멤버 등의 보강재를 .. 2016.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