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들이 있고 그 구조도 매우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용차 보디의 기본 형상별로 구분했으며 그 기능 및 형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세단(Sedan) 고정된 객실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객실에 2열의 좌석을 설치한 4∼6인용의 승용차다. 도어(door)의 수에 따라 2도어 세단, 4도어 세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통 4 도어 승용차를 세단이라고 부른다.□ 하드 톱(Hard Top)원래는 금속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객실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센터 필러(Center Pillar)가 없는 세단형 승용차를 말한다. 루프 부위를 탈부착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쿠페(Coupe)2도어 세단보다 약간 .. 2016. 4. 9. 11. 자동차 프레임의 구조에 의한 분류 [자동차 프레임 종류] 11. 자동차 프레임의 구조에 의한 분류 [자동차 프레임 종류]1) 페러미터형 프레임(Parameter Frame)주위형 프레임이라고도 하며 객실 바닥의 주위에 센터 프레임 레일을 설치, 보디의 사이드 실(로커 패널)의 바로 내측을 통하는 모양으로 설계된 프레임이다. 객실의 바닥을 낮게 해 무게중심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앞바퀴의 뒤쪽과 뒷바퀴의 앞쪽을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려 토크박스를 설치했기 때문에 앞면 및 후면의 충격 때는 이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객실부의 충격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의 충돌 때에는 센터 프레임이 객실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2) H형 프레임(H type Frame)프레임이 사다리 형태로 되어 있어 사다리형 .. 2016. 4. 8. 10. 자동차 엔진 룸, 객실 룸, 트렁크 룸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자동차 배치] 10. 자동차 엔진 룸, 객실 룸, 트렁크 룸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자동차 배치]승용차는 보통 엔진 룸, 객실 룸 및 트렁크 룸의 배치에 따라 몇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3박스(Three Box) 엔진 룸 이외에 트렁크 룸이 객실과 분리되어 있는 타입으로서 승용차의 대부분이 이러한 형식이다. 보통 세단(Sedan)이라 불리는 자동차는 대부분 3박스 구조이다.2) 2박스(Two Box) 객실과 트렁크 룸이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소형 승용차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다. 승용차의 5 도어나 해치백의 경우 이런 구조이다. 트렁크나 해치백을 열었을 때 차량 내부 공간에 별도의 분리막이 없는 구조이다. 그래서 사람이나 물건이 트렁크를 열어 객실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3) 1박스(On.. 2016. 4. 4. 57. 자동차 엔진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엔진의 배치] 57. 자동차 엔진의 배치에 의한 분류 [자동차 용어: 엔진의 배치]자동차의 엔진은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대별로 변화하여 왔다. 각각 엔진의 위치에 따른 특징과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1) FR(프런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 Front Engine Rear Drive)1980년대 초반까지 대부분의 자동차에 채용되고 있었던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보닛(후드)을 낮추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객실의 바닥으로 변속기와 추진 축이 지나가는 터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거주성의 제약이 있는 등 문제점도 있다. 2) FF(프런트 엔진 프런트 드라이브, Front Engine Front Drive)객실 부분의 바닥에 프로펠러 샤프트를 위한 터널이 없으며 엔진을 횡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주거공간을 넓게 할 .. 2016. 4. 3. 6.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 [자동차 용어: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6.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 [자동차 용어: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Hybrid Vehicle) 차량이나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의 경우에 전기 모터로 단독 구동시에 엔진음이 전혀 들리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의 보행자나 주위의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보행자에 게 차량접근을 인식시켜 주기 위한 안전 장치로 모터 주행 시 엔진 작동음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가상의 엔진 작동음을 발생시킨다. 2016. 3. 30. 21. 저공해 자동차 2 리터카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21. 저공해 자동차 2 리터카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1. 리터카(Litter Car) 개념2 리터 주입으로 100km를 주행 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ITS) 및 텔레매틱스 등 모바일 오피스 기능도 갖추게 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km당 70g으로 줄여 유럽 최고 환경 규제인 EURO 5 기준을 맞추어 개발한다.2. 2리터카(Litter Car) 개발 목적이산화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인 환경 친화적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기술 확보3. 2리터카(Litter Car) 구현 방안디젤 엔진과 하이브리드를 개발하고, 부품 모듈화와 알루미늄, 티타늄의 가벼운 소재를 채택하여 차량 경량화를 달성한다. 모튤화의 효과로 부품 수 감소뿐만 아니라 무게도 약 20% 경감되어 CO2 배출량이 줄.. 2016. 1. 2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