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6. 폭스바겐 배출 가스 조작으로 본 경유(디젤) 승용차의 장단점과 디젤 승용차의 신기술 적용 6. 폭스바겐 배출 가스 조작으로 본 경유(디젤) 승용차의 장단점과 디젤 승용차의 신기술 적용 1. 도입 배경 대기오몀,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 에너지의 사회 문제로 디젤 쪽으로 눈을 돌림 2. 디젤 엔진의 장점 Co2 배출량이 작아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3. 디젤 엔진의 단점 연소 시에 확산 연소로 인한 공기 이용률이 낮아 입자상 물질(PM)의 발생이 많고 또한 국부적인 고온의 발생으로 대기 오염원인 질소 산화물(Nox)의 배출이 주요 문제이다. 4. 디젤 엔진의 과제 질소 산화물과 입자상 물질을 절감시켜야 하면 높은 압축비에서 발생디는 소음과 진동을 줄여야 한다. 5. 디젤 엔진의 개선 방안 1)연비 개선 연소개선을 위한 고압의 CRDI 시스템을 적용하여 배출물의 저감과 연비향상을 이.. 2015. 10. 13. 5. EGR율 5. EGR율 1. EGR율 영향 공기 과잉률이 낮은, 즉 람다값이 적으면 매연과 PM 발생이 급증하므로 EGR 적용은 공기 과잉률이 높은 부분부하(람다값이 클 때) 주로 작동하며 EGR율의 결정은 CO, HC, 매연과 연비의 증가가 없는 범위내에서 결정 - EGR율 X=EGR 가스랑/(흡입 공기량+EGR 가스양)×100 - EGR 가스양 = 배기량-흡입 공기량 2. EGR 작동 1) 과부하 영역에서 EGR을 적용하면 O2의 부족으로 매연 및 HC가 증가한다. 2) EGR의 적용은 중/저 부하 영역에서 효과를 높인다. 3) 전자제어 EGR을 적용하여 RPM 및 부하를 연산하는 정밀 제어가 좋다. 4) HOT EGR 저 Nox화를 목적으로 분사 시기를 대폭 지연하면 HC를 동반하는데 이때 적당한 HOT E.. 2015. 10. 12. 4. ERG 밸브,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4. ERG 밸브,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1. EGR 밸브재순환 통로에 설치되어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EGR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배기 가스 내의 질소산화물(NOx)을 줄이기 위하여 배기 가스의 일부분을 흡기 매니홀드로 재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 장치는 배기포트의 진공, 배기압력,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작동이 되면 차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서머밸브, 배기가스 재순환 솔레노이드 밸브, 진공 조절 밸브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2. EGR 작동법 : 기계식과 전자식이 있다.3. E-EGR 작성 : 엔진 회전 속도와 부하, 냉각수 온도 등을 감지해 엔진 작동상태를 파악, 전자식 모터나 전자식 밸.. 2015. 10. 11. 3. EGR에 의한 배출가스 저감원리 3. EGR에 의한 배출가스 저감원리디젤 엔진의 Nox 발생은 급속 연소초기(연소 시작 후 크랭크 각도 20°)의 이론 공연비에 가까운 공연비가 고온 분위기에서 대부분의 Nox가 형성된다.1) NOx 제어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분사시기 지연과 배기가스 연소실 재순환이다.2) EGR 가스의 주 성분은 N2와 CO2, 수증기(H2O)이며, 이들 가스가 연소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효과는 다음과 같다.① 희석효과EGR이 연소실로 들어오는 O2를 N2, CO2, H2O로 대체한다. 연소실 내의 산소 농도 감소로 NOx 감소, PM&HC 증가, 산소 농도 감소로 NOx 감소, PH&HC 증가한다.② 열효과EGR에 의한 내부 비열 증가를 통해 화학 반응을 약화시킨다. 연소실에 수증기(H2O)와 CO2를 도입하.. 2015. 10. 9. 2.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자동차 배기 가스 선택 촉매기의 원리 2.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자동차 배기 가스 선택 촉매기의 원리1. 개요배기 가스 중의 Nox를 알모니아 성분(NH3)의 환원제인 NH3와 반응시켜 N2와 H2O로 분해하여 NOx를 저감하고, Nox를 저감하는 과정에서 NH3와 SO2의 산화 반응올 황산물에 의한 피독 또는 성능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반응을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 SCR이다. 즉 ‘선택적(Selective)’의 의미는 촉매 반응시에 NOx+NH3의 반응과 더불어 NH3+SO2의 산화반응을 촤소화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SCR의 주 포인트는 NH3와 SO2의 산화 반응로 황산화의 진행이 다른 촉매에 비해 현저히 최소화 한다는 것이다.2. SCR 반응 메커니즘배출가스의 SO2는 .. 2015. 10. 7. 1.승용차의 실주행 연비와 공연 연비가 차이가 나는 이유? 1.승용차의 실주행 연비와 공연 연비가 차이가 나는 이유?먼저 가장 큰 이유는 연비 측정방법과 주행 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차량의 주행 거리에 따른 연료 주입량으로 직접 계산하는 반면에, 공인연비는 총주행 누적 거리 160km 미만의 차량을 25℃의 실험실에서 12~36 시간 동안 안정화 한 후 전기 및 에어컨 등의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샤시다이나모 상에서 LA-4 모드로 42분 동안 17.84km를 모의 주행한다. 소모된 연료의 양을 배기 가스에 포함된 탄소량으로 산출하는 화확적 방법이며, 이를 카본 밸런스법이라 한다. 두번째는 측정시 차속이 다르다. FTP 모드의 평속 시속은 34.1km인 반면 서울 시가지의 평균 주행 속도는 20km/h로 낮다. 세번째는 실제 주행시와 부하가 .. 2015. 10. 6. 이전 1 ··· 27 28 29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