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12. ACV(Air Control Valve)공기 조절밸브 기능 12. ACV(Air Control Valve)공기조절 밸브 기능 1. 위치 흡입 공기량 제어를 위해 흡입 매니 홀드에 장착한다. 2. 기능 시동 off시 공기 차단으로 디젤링 방지. 정확한 EGR 제어를 위해 EGR 작동 시 ACV를 작동시켜 흡입 공기량 제엉 CPF 재동 시 배기 온도 상승을 위해 흡입 공기량을 낮추어 공연비를 농후하게 조작하여 배기 온도 상승을 유도한다. 3. 적용 터보 디젤의 경우 흡기관내의 압력이 높고 EGR양의 제어가 어려워서 흡기 쓰로틀 밸브와 EGR 밸브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흡기 쓰로틀 밸브는 EGR을 위해 채용되며, 흡기 매니홀드 입구에 설치하여 흡기관 내의 압력을 저하시켜서 배기가스가 쉽게 흡입되도록 하고 있다. 2015. 10. 18. 11. 무단 자동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1. 무단 자동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1. CVT란주어진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속되는 무단 변속 장치이다.2. 장점변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의 의도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최적의 변속비로 작동할 수 있고, 최적의 변속비로 운행함으로써 CVT 차량의 연비(Fuel Economy), 가속성증(Acceleration) 및 주행 운전성(Drive Ability)이 기존의 A/T 차량보다 우수하다.3. 구조후진, 중립, 전진 등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단변속장치 및 기존의 A/T에 사용되는 전후진 전환장치 및 발진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Step A/T에서는 치차기구에 의해 속도 변환 시의 변속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변속쇼.. 2015. 10. 17. 10. 환경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우 자동차의 배출가스 허용 기준 10. 환경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우 자동차의 배출가스 허용 기준 1. 평균 배출량 관리제도(Fleet Average System) 적용 대상은 휘발유, LPG 자동차로 하고 제작사 규모별 평균 배출량 기준이다. 제작사의 선행 기술 개발 등 기준 대응을 위한 것이며 고시된 평균 배출량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각 제작사는 2010년부터 ‘극초저공해(SULEV : Super Ultra Low Emission Vehicle)’ 자동차를 일정 비율 이상 판매하여만 하고 대기 환경 개선 및 저공해 자동차 기술 개발을 촉진한다. 2. 경유 자동차에 대해 동일시기에 EURO-5 기준 적용 1) 경유 자동차의 차기 배출 허용 기준으로 유렵에서 시행 중인 EURO-5 기준을 유럽과 동일 시기에 한다. 2) 환경부에서는 국.. 2015. 10. 16. 9. 한국 공인연비 시험절차-카본 밸런스 연비 산출 방법(CVS-75 모드) 9. 한국 공인연비 시험절차-카본 밸런스 연비 산출 방법(CVS-75 모드) 1. 시험 준비 과정 연비 측정 대상 자동차(주행 축적 거릴 160km)를 시험실의 차대 동력계에 위치 시킨 후 예비 주행을 하고, 자동차 전체가 냉간 상태가 지속될 수 있도록 25℃의 항온 항습실에서 12~36시간 동안 보관한다. 2. 모의 주행 위의 준비과정을 거친 차량을 차대 동력계상에서 배기 분석계 및 시료 채취관을 연결하고 냉각팬을 설치 후 공인 연비 주행 모드에 따라 모의 주행을 실시한다. 3. 배기가스 분석 모의 주행 동안 자동차의 배기구에 연결된 시료 채취관을 통하여 측정된 배기 가스를 분석하여 대상 차량의 연비를 결정한다. 2015. 10. 16. 8. 한국 자동차 연비 측정 표시 방법 8. 한국 자동차 연비 측정 표시 방법 승용 자동차는 시가지 주행 연비 측정 방법을 적용하고, 승용 자동차 이외의 자동차는 시속 60km 정속 주행 연비를 적용한다. 1. 시가지 주행연비(CVS-75 모드 시험방법) 자동차 관리법 및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에 의거 CVS-75 모드 시험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는 미국의 LA 시가지의 교통 여건을 반영한 모드(LA-4)와 동일한 방법이며, 승용 자동차에 적용한다. 2. 정속 주행 연비(60km/h) ①풍속 3m/s 이하의 평탄하고 건조한 직선 포장도로에서 변속기는 최고단 상태로 운행을 개시하여 차량의 속도가 60km/h에 도달하면 차속을 60km/h로 유지하면서 연료량을 측정하여 연비를 구하고 측정된 연비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승용 자동차 이외의 .. 2015. 10. 15. 7. 배기가스 절감 장치: DPF(매연 여과 장치) 7. 배기가스 절감 장치: DPF(매연 여과 장치) 1. 기능 DPF는 PM을 포집하여, PM이 적정량 축적이 되면, 미연 배기가스 또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촉매를 고온으로 활성화 시켜 PM을 재연소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후 DPF는 다시 PM을 포집한느 구조로서 DPF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며, DPF는 PM 7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DPF는 매연 저감 성능면에서는 아주 우수하나 고가이고 내구성이 부족하고, 필터에 PM이 포집됨에 따라 엔진에 배압이 걸리고 이로서 출력과 연료 소비율이 다소 희생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DPF 기술은 크게 PM 포집(Trapping)기술과 재생(Regeneration) 기술이 중요하다. 2. 종류 1) 1세대 DPF 기술(강제재생방식) 필.. 2015. 10. 14. 이전 1 ··· 26 27 28 29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