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24. 스텝 모터(Step Motor)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24. 스텝 모터(Step Motor)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 개요 스텝 모터(step Motor), 펄스모터(Pulse Motor),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라고도 한다. 입력되는 펄스에 따라 일정 각도씩 스텝으로 회전한다. 2. 특징 입력 펄스에 비례하는 회전각이 결정되고, 입력 주파수에 비례하는 회전 속도를 유지한다. 3. 장점 디지털 펄스 신호 출력만으로 피드백계가 없으면서도 엔진의 요구 회전수를 정확히 제어 할 수 있다. 4. 구동 원리 정해진 순서로 고정자 코일 여자(자석을 자극)하면, 그때마다 일정 각도만큼 스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 모터이다. 스텝 모터의 회전속도는 펄스의 듀티 값은 고정된 채로 펄스 Hz를 변화시켜서 모터의 속도 조절 5. 종류 VR(Vari.. 2015. 10. 30.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3.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 [자동차 전문 용어: 개발/차체/차체설계] 1. 개요 승용차의 차체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되면 일체 구조, 프레임 장착 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가 있다. 이 중에서 모노코크 바디는 일체 구조로 된 차체이며,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에 유리하게 때문에 대부분의 양산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모노코크이 바디의 개발 추세는 차체의 각종 성능과 경량화를 위해 TWB와 고장력 강판 등을 적용하고 있다. 2. 모노코크 바디의 구조 박판으로 섀시 부품을 직접 바디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설치부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멤버를 갖추거나 부분 프레임에 섀시 부품을 설치한 후 바디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1) 장점 차실을 낮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높.. 2015. 10. 29. 23. 점화 플러그 열가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가솔린 엔진/디젤 엔진] 23. 점화 플러그 열가(Spark Plu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가솔린 엔진/디젤 엔진] 점화 플러그에는 냉형 플러그와 열형 플러그가 있다. 1. 냉형 플러그(Cool Plug) 방열성이 좋아서 열을 적게 받는 플러그이다. 열가가 높다. 구조는 중심 전극 부분의 절연체가 연소실에 노출된 길이가 짧다. 주로 고속 고부하 운전차량인 경주용 자동차(Racing Car)에 적용되면 연소실의 온도가 높다. 2. 열형 플러그(Hot Plug) 수열량에 비해 방열량이 적은 즉 열을 받는 면적이 큰 플러그. 열가는 낮다. 중심전극 부분의 절연체의 길이가 길다. 주로 저속 차량(시내 주행)에 적용되면 연소실의 온도가 낮다. 2015. 10. 28. 22. 공연비의 조정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22. 공연비의 조정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 개요 전자제어 엔진이란 엔진에 공급되는 공연비의 컨트롤과 유해 배출 가스 관련 품목 및 엔진의 RPM, 토크, 점화시기 등 모든 동작을 센서로 감시하고, 부품의 동작 여부를 ECU로 피드백하여 유해 배기가스 배출물을 저감하고, 열효율은 높이고, 출력은 최대가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 위한 안전한 운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자적으로 컨트롤 하는 엔진을 말한다. 2. 구성 1) O2 & λ 센서: 산소센서 또는 람다센서의 산호를 피드백하여 인젝터 분사 시간을 엔진 부하에 맞게 조절하여 공연비를 맞춘다. 2) 촉매 전후 산소센서: 촉매의 열화 또는 작동 여부를 피드백하기 위한 센서이지만 촉매 전 O2 센서 fail 시에는 촉매 후 O2 센서로 대체.. 2015. 10. 28. 21. 디젤 엔진의 다운 사이징(Down-siz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엔진 개발] 21. 디젤 엔진의 다운 사이징(Down-siz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엔진 개발] 1. 배경 수송 분양에서 배출되는 CO2의 경우 국내의 경우 전체 배출량의 20% 정도를 차지한다. 디젤 차량의 보편화에 따라 고압분사, 터보 차저, 배출가스 저감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승용 및 Light Duty 차량에 적용되면, 08년 상반기 신규 등록 차량의 18.7%가 디젤 엔진을 장착하였다. 디젤 엔진은 가솔린 대비 연비는 17~42% 우수하면, Co2의 경우 4~19% 디젤 차량이 절감된다. 그러나 디젤은 PM과 NOX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2. 개선 방향 분사제어, 과급 능력 및 향상, 배기 가스 제어 등이 개선되면 디젤 차량의 연비에는 향상의 여지가 있다. 3. 디젤 차량의 다운 사이징 엔진.. 2015. 10. 27. 20. 디젤링(Dieseling)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디젤 엔진] 20. 디젤링(Dieseling)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디젤 엔진] 1. 속주(Run-on) 현상 엔진의 가동 후 점화를 차단하여도 단시간 동안 계속 엔진 회전하는 것을 속주라 한다. 속주 발생 시 연소실 내의 화합물의 점화는 보편적으로 표면 점화에 의해 이루어지면, 표면 점화는 스파크 점화를 중지한 후에도 일어난다. 2. 디젤링의 발생 현상 1) 원인: 연소실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점화를 차단한 경우에 잔류 가스나 연소실의 퇴적물이 고온 흡기의 압축 착화에 의한 것이 때문에 디젤 엔진에서의 압축착화와 비슷하여 디젤링이라 한다. 2) 예방대책 키 스위치를 끄면 연소를 차단하는 기구를 장착한다.(Fuel Cut Solenoid) 이전 기계식 열형 인젝션 펌프에서 디젤링이 발생하여 계속 운전하면.. 2015. 10. 26.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