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1. 압축 천연 가스(CNG : Compressed Natural Gas) [자동차 용어:친환경 자동차/CNG]에 대한 소개 1. 압축 천연 가스(CNG : Compressed Natural Gas) [자동차 용어:친환경 자동차/CNG]에 대한 소개오늘은 친환경적 자동차 연료인 압축 천연 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에 대하여 알아 보기 합니다. CNG는 경유차에 대한 대안 연료로서 특히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경유 대비 20~30% 적게 발생하는 친환경 청정 에너지입니다.CNG는 천연 가스를 사용하여 기관을 구동하는 자동차에 쓰입니다. 1970년 석유 에너지 대체 수단으로 1990년대 대형 경유차의 오염 물질 배출 저감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압축 천연 가스의 장점으로는 1) 청정 에너지입니다.① 분진, 유황 등이 거의 업는 청정 에너지이다.② Sox, Soot가 거의 없다.③ 지구 온난화의.. 2015. 11. 13. 11.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의 장점 및 특정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1.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의 장점 및 특정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1. 알루미늄 휠 특징1) 외부 충격에 깨지지 않고 적당이 변형되기에 안전성에 유리2) 내식성 또는 외관이 보기 좋다.3) 열전도율이 높아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현상 및 베이퍼 록(Vapor Lock) 현상 억제4) 경량화가 가능하여 연비 및 승차감 향상과 타이어 로드 홀딩에 장점이 있다.2. 알루미늄 휠의 경량화에 따른 영향휠 질량이 크면 회전 운동 운동 관성도 크게 되어 정속 주행에 유리하지만 가감속을 자주하는 차량에는 불리하여 가속 저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가감속 및 연비 향상에 유리하고, 현가장치의 스프링 아래 질량이 낮아 로드 홀딩.. 2015. 11. 12. 3.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Car)가 연비가 좋은 이유 3.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Car)가 연비가 좋은 이유 1) 아이들 스톱/고(Idle Stop/Go) 자동차가 정차하거나 감속 중일 때 엔진을 끔으로써 아이들 상태에서 불필요한 연료와 배기가스의 배출을 줄인다. 2)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 System)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는 제동 시 제동 에너지를 마찰 브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열로 발산시키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는 이 에너지를 발전기를 전환하여 전동기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회수된 에너지는 자동차의 전장을 구동하거나 전동기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3) 파워 어시스트(Power Assist) 차에 급격한 가속이 요구될 때 전동기의 동력 보조를 이용해서 이를 충족시키고 엔진 운.. 2015. 11. 11. 1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Rolling Radius)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Rolling Radius)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념 타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차량은 개발 당시 요구되는 차속과 구동력 등에 따라 적절한 엔진의 회전속도에 맞춰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주행 중 동하중 반경의 변화가 크게 되면 차속과 구동력도 바뀌게 되어 성능상의 오차를 가져온다. 2. 차량 속도계 기준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에서 얻어진 설제 차속이 아니라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기준 삼아 실제 차속을 추정한다. 이런 이유로 차량속도계 차속 실제 차속과의 오차가 있다. ◇ 실제 차량속도(km/h)=2π동하중반경×(엔진rpm)/(변속비×종감속비)×60/1,000 2015. 11. 10. 9. 타이어 편평비(Aspect Ra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9. 타이어 편평비(Aspect Ra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념 (타이어 높이/타이어 단면폭)×100으로 표시하며, 시리즈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한다. 고편평비 타이어를 일반 타이어, 저편평비 타이어를 광폭 타이어로 부르고 있으며, 충력 흡수력과 주행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상관 관계가 있다. 2. 특징 저편평비 타이어는 노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고, 사이드월(Side Wall)의 강성이 커서 고속 주행에 유리하고, 핸들링 시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충격 흡수면에서 불리하다. 2015. 11. 10. 8. Tire Heat Separation 현상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8. Tire Heat Separation 현상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요 타이어의 이상 발열로 인하여 벨트의 온도가 125℃ 정도가 되면 타이어를 구성하고 있는 고무나 코드 등이 열화 되거나 접착력이 약해져서 타이어의 내구력을 저하시키고, 물질이 용해되거나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2. 발생 원인 타이어(Tire)에 축적되는 열과 방출되는 열이 균형을 이루지 못해 발생하므로 이상 발열이 주 원인앋. 1) 타이어의 공기압이 규정보다 낮을 때 2) 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이 클 때 3) 차량의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 8. Tire Heat Separation, 타이어 열 파열 현상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요 타이어의 이상.. 2015. 11. 9.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