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1. 알루미늄 합금 차체 사용 이유 자동차 중량은 안전성과 운전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가했으나, 이와 반비례하여 연비의 악화를 가져다 주었다. 경량화, 고강성,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알루미늄 차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것은 알루미늄과 다른 금속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면 차체의 요구 성능을 만족 시키고, 연비 개선 및 환경 규제 대응에 유리하다. 2. 알루미늄 차체의 구조 1) 모노코크(Monocock) 구조 강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압출 성형재를 이용한다. 3) 하이브리드 구조 모노코크와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로 주조,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의 3가지 방법을 조합해서 제조한다 3. 알루미늄 합금 차.. 2015. 11. 5. 6. 자동차 사고 회피 기술에 관한 소개 6. 자동차 사고 회피 기술에 관한 소개 1. 정의 차량 주행 주행 충돌 사고 등이 발생을 사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 또는 회피하는 기술을 능동 안전(Active Safety)기술 또는 예방 안전 기술이라 한다. 이에 반해 수동 안전(Passive Safety)기술은 사고 발생 후 충돌 이후의 피해를 경감하는 기술로서 충돌 안전 기술이라 한다. 2. 능동 안전 기술 1) 능동 안전기술의 정의 운전자의 인지, 판단, 조작을 지원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이다. 2) 주요 기술 ① Night-Vision, Active Headlight, 야간 시각 보조 등의 안전 지원 기술 장치 ② 카네비게이션(Car-Navigation) 장치에 정보 통신기술 업데이트 하여 정보 제공, 음.. 2015. 11. 4.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1. 개 요 차체는 엔진롬, 펜더, 필러, 플로워, 루프레일, 트렁크룸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안전성과 거주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이다. 2. 차체 설계 요구 조건 1) 안전하고 편안한 거주 공간 확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고,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함과 더불어 쾌적함과 정숙성을 제공해야 한다. 2) 아름다운 스타일링 엔진이나 레이아웃에서 차체의 구조나 형상 등이 아름다운 스타일링과 기능을 양립시켜야 한다. 3) 주행에 필요한 부품 탑재 엔진 및 서스펜션 시스템 등에 적당한 강도와 강성이 필요하다. 4) 충돌성능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차체의 변형 에너지로 변화될 때 탑승자에게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 1) 충돌 성능의 기술동향 CAE.. 2015. 11. 4. 4. 차체의 안전 설계와 존 바디(Zone Body) [자동차 용어: 차체/설계/개발] 4. 차체의 안전 설계와 존 바디(Zone Body) [자동차 용어: 차체/설계/개발] 1. 정의 차체는 충돌 시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해 다양한 존(Zone, 구역)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차체를 존 바디(Zone Body) 또는 세이프티 존 바디(Safety Zone Body0라고 한다. 2. 종류 1) 세이프티 존(안전 확보 구역, Safety Zone) 차량 충돌 시 변형을 최소화하여 탑승자의 안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2) 크럼플 존(Crumple Zone) 차량 충돌 시 전/후면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2015. 11. 3. 26. 가솔린 엔진 차량의 촉매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26. 가솔린 엔진 차량의 촉매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 기능 배기 계통에 촉매 정화 장치를 부착하여 유해 물질인 미연소 성분의 CO, HC와 고온 연소 생성물인 NOx 등이 비교적 무해한 물질인 CO2, H2O, N 등으로 산화 또는 환원된다. 2. 삼원촉매 다공질의 촉매 지지체(Support Substrate)에 백금, 로듐, 팔라듐과 같은 귀금속을 탑재하여 만들며, 삼원촉매는 공연비가 이론 공연비의 경우에만 CO, HC, NOx를 동시에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귀금속 탑재 시 귀금속에 의해 배기가스의 난류가 잘 일어나게 하여야 촉매의 활성화 되는 시간이 빠르다. 그러나 촉매에 탑재되는 귀금속의 양이 너무 많으면 귀금속 간의 소결 및 촉매가 열화된다. 3. 주요 귀금속의 기능 Pt.. 2015. 11. 1. 25.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25.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A/T는 토크 전달을 ATF를 이용하므로 손실이 발생하고, 이 손실로 인해 M/T와 비교하여 연비 성능에서는 불리하다. 1) A/T에서 유압 장치가 하는 역할 ① T/C의 동력 전달 매체이다 ② 클러치/브레이크 장치를 작동하는 유압 제어 매체이다. ③ 기어 트레인의 윤활 ④ 쿨러 회로를 이용한 A/T의 냉각 ⑤ 클러치 μ 특성의 안전 2) ATF의 요구 성능 1) 저온 유동성 2) 산화 안정성 3) 내마모성 4) 마찰 특성 5) 셔더(Shudder)의 방지성 2015. 10. 31.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