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학습180 19. 커먼 레일 엔진(Common Rail Engine)의 필요성과 기능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9. 커먼 레일 엔진(Common Rail Engine)의 필요성과 기능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 도입 배경 EURO 6 기준을 만족하고자 전자식 EGR의 적용과 람다 센서로 피드백함과 동시에 DPF의 후처리 장착을 권장하게 된다. 차량의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저속, 중속 영역에서 분무 시 액적의 미립화를 하여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노즐의 분공경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 결과로 분공경이 작아지면 고출력 영역에서는 분사시간이 길어지므로 짧은 시간에 분사량을 설계 스펙에 맞추려면 연료를 고압화 하면 된다. 즉 고출력화를 위해서는 높은 분사 압력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2. 효과(다단분사) 예혼합 연소에 의한 PM의 저감, 착화지연 기간 단축으로 Nox와 Knock 소음 적마, 확산 연.. 2015. 10. 26. 1. 전기 자동차의 종류 [자동차 전문 용어: 전기자동차] 1. 전기 자동차의 종류 [자동차 전문 용어: 전기자동차]전기 자동차는 현재까지 여러 종류가 있으나, 순수 전기 자동차는 높은 제조 원가로 완전한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면 전기 자동차의 종류를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자.1.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V, HEV)보통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고도 하면 토요타의 프리우스가 가장 대중화 된 자동차이다. 가격과 연비에서 압도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다.동력으로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을 동시에 쓰는 자동차이다. 전기화 정도에 따라 직렬 히이브리드와 병렬 하이브리드 방식이 있다.1) 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Series Hybrid System)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하고 그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한다.2)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Parallel Hybri.. 2015. 10. 25. 18. 공연비(A/F)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18. 공연비(A/F)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의 질량비를 공연비라 하고 A/F 또는 AFR로 표시한다.(체적비로 보면 대략 연료1은 공기의 체적으로 보면 대략 11㎥이다). 가솔린 엔진의 공연비는 대략 8:1~18:1 정도로 유지되면 린번 엔진과 HCCI에서는 더욱 높은 공연비로 운전된다. 2015. 10. 24. 17. 공기 과잉률(λ)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17. 공기 과잉률(λ)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실제로 실린더에 공급된 공기와 연료의 비(Ratio)를 이론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이론 공연비)로 나눈 값이며, 가솔린과 디젤엔진에서 널리 사용 공기과잉률(λ)=실제로 공급된 공연비(A/F)/이론 공연비(A/F) 2015. 10. 24. 16. ETC(Electric Throttle Control)전자 쓰로틀 밸브 제어 16. ETC(Electric Throttle Control)전자 쓰로틀 밸브 제어 1. 개념 PCU가 APS와 기타 센서의 신호를 연산한 후 원하는 수 만큼의 펄스 신호를 Throttle Body에 장착되어 있는 스텝모터(step Motor)에 준다. 스텝 모터는 받은 펄스 수량 만큼의 각도로 열러 주거나 닫아서 원하는 RPM을 유지하는 형식이다. 2. 작동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 하면서 유저의 불편을 최소화 하는 형식의 통합 제어를 하는 차량에서 사용하는 Throttle Valve Control 방식이다. Idle RPM, TCS Control, Smart Cruise Control 등과 통신한다. 3. 장점 와이어링이 감소되고, 배선 연결 시 커넥터의 등의 감소로 시스템이 간소화 되었으며, 경량화.. 2015. 10. 23. 15. Dual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5. Dual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 원리 Idle시에 밸브 오버랩을 두지 않아서 연소실 압력을 높여 완전 연소율을 향상시켰으며, 흡기관 역류를 방지하여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부분 부하 시 기존의 싱글 CVVT는 흡입 행성시 흡기 밸브를 진각시켜 펌핑일을 감소 시켰으나 듀얼 CVVT는 흡기 밸브는 최지각하고 배기 밸브를 지각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1) 밸브 오버랩 구간에서의 펌핑 일 감소 2) 잔류 가스양 증가로 인해 흡기압 상승 3) 흡기밸브 닫힘 시기를 지각하여 흡기압을 상승시킨다. 2. CVVT의 효과 1) PMEP(Pumping Mean Effective Pressure)감소로 연비를 향상시킨다... 2015. 10. 23.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