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섀시용어124 183. 서스펜션 스트로크(Suspension Stroke) [자동차 용어: 섀시] 183. 서스펜션 스트로크(Suspension Stroke) [자동차 용어: 섀시]바퀴가 튕겨 올려져서 가장 줄어든 풀 범프(Bump)로부터 가장 크게 늘어나 폴 리바운드(Rebound)까지 바퀴가 움직이는 거리. 2014. 10. 27. 182. 롤 강성(Roll Stiffness) [자동차 용어: 섀시] 182. 롤 강성(Roll Stiffness) [자동차 용어: 섀시]코너를 돌 때 차체가 기우는 것을 롤 모멘트라 하는데, 이 롤 모멘트에 의하여 차체에 롤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힘이다.롤 모멘트는 보디가 무거울수록 또는 롤 센터가 낮을수록 커진다. 2014. 10. 27. 181. 롤 센터(Roll Center) [자동차 용어: 섀시] 181. 롤 센터(Roll Center) [자동차 용어: 섀시]코너링 시 차체가 기울어지는 중심.모든 서스펜션은 링크에 따라 컨트롤 되므로 그 배치를 보아 롤 센터를 찾을 수 있으면 앞바퀴 롤 센터는 거의 지면상에 있고 뒷바퀴 쪽은 이보다 높다.앞 뒤 롤 센터를 이은 선을 롤축이라 하고, 코너링 때 차체는 이 축을 중심으로 기울게 된다.모든 조건이 같은 차에서는 롤 센터가 낮은 쪽이 코너링 때 크게 기운다. 2014. 10. 27. 180. 레인 타이어(Rain Tire) [자동차 용어:섀시] 180. 레인 타이어(Rain Tire) [자동차 용어:섀시]젖은 노면을 달리기 위한 레이싱 타이어.젖은 도로에서는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물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수하고 물을 된 막을 제거함으로써 트레트 고무와 노면을 접촉시키는가가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적은 노면에서는 건조한 노면에 사용하는 슬릭 타이어보다는 트레드 폭은 좁으나 넓은 폭의 스트레이트 그루브(Groove)를 가져 젖은 노면에 대한 접지력이 좋은 트레드 컴파운드 타이어가 쓰인다. 젖은 노면에서 쓰는 타이어를 말하는 것으로 웨트(Wet) 타이어라고도 한다. 2014. 10. 27. 179. 마모 한도 표시(Wear Limit Indicator) [자동차 용어: 섀시] 179. 마모 한도 표시(Wear Limit Indicator) [자동차 용어: 섀시]타이어에 표시된 마모한도 표시.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제작되어 있는 튀어 나온 부분으로서 마모한도 표시기가 나오면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2014. 10. 27. 178. 로드 홀딩(Road Holding) [자동차 용어: 섀시] 178. 로드 홀딩(Road Holding) [자동차 용어: 섀시]주행 중 자동차의 타이어가 노면에 밀착되는 밀착성.타이어의 밀착성이 좋을수록 고속 주행시 안정성이 있고 노면 상태에 따른 승차감 또한 우수하다. 2014. 10. 27. 이전 1 2 3 4 5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