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섀시용어124 94. 디펀렌셜 기어(Differential Gear) [자동차 용어: 섀시] 94. 디펀렌셜 기어(Differential Gear) [자동차 용어: 섀시]차종 기어.커브길에서 좌우 구동륜이 상호 동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이한 속도록 회전하도록 한 기어로서 자동차 선회할 때 내외측 차륜이 받는 하중의 차이에 의하여 회전수를 달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2014. 10. 17. 93. 파인널 리덕션 기어, 최종감속기어(Final Reduction Gear) [자동차 용어: 섀시] 93. 파인널 리덕션 기어, 최종감속기어(Final Reduction Gear) [자동차 용어: 섀시]최종 감속 기어.드라이브 피니언과 링 기어가 한쌍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속도를 회전방향을 직각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2014. 10. 17. 89.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 [자동차 용어: 섀시] 89. 댐퍼 클러치(Damper Clutch) [자동차 용어: 섀시]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내부의 유치 클러치를 플라이휠과 직결하여 유압에 의한 동력 손실을 방지하는 기계식 전동 장치.록업 클러치(Lock Up Clutch)라고도 한다. * 관련 용어2014/10/16 - [자동차 용어/섀시용어] - 76.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 [자동차 용어: 섀시] 2014. 10. 17. 88. 킥다운 스위치(Kick Down Switch) [자동차 용어: 섀시] 88. 킥다운 스위치(Kick Down Switch) [자동차 용어: 섀시]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엑셀레이터 페달을 급히 깊숙히 밟았을 때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전에 즉시 킥다운 서보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 스위치. 2014. 10. 17. 87.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 [자동차 용어: 섀시] 87.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 [자동차 용어: 섀시]자동 변속기 차량을 톱기어로 운전하는 경우 차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오버톱 상태로 되는 것이다.중고속 주행 시 연비 향상과 소음 감소 목적으로 변속기의 입력 회전수보다 출력 회전수를 빠르게 하는 장치로 O/D 스위치를 눌러 ON/OFF 시킬 수 있다. 2014. 10. 17. 86. 셀렉터 레버(Selector Lever) [자동차 용어: 섀시] 86. 셀렉터 레버(Selector Lever) [자동차 용어: 섀시]자동 트랜스미션 또는 트랜스액슬의 선태 레버.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동력 전달여부를 나타낸 P, R, N, D, 2, L 등의 범위를 선택하는 장치이다. 2014. 10. 1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