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69

휠 정렬 (Wheel truing) 휠 정렬 (Wheel truing) 11-1 휠셋의 구성 요소 튼튼한 휠셋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요소 -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높은 스포크 장력 - 정확한 길이의 스포크 - 스포크 나사산과 림 아일렛 부분의 윤활유 사용 - 사용 용도에 맞는 허브와 림의 선택 - 라이딩 환경을 고려한 적절한 lacing pattern 선택 휠빌딩에 앞서 작업을 의뢰한 고객과 다음과 같은 내용의 상담을 통하여 적절한 부품과 Lacing방식의 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 라이더의 체중 - 라이더의 라이딩 성향 - 휠의 주 사용 목적 - 휠이 장착될 프레임의 성격 3) 림의 종류 - Rim(림) 림의 바퀴의 타이어가 끼워지는 링형태의 부품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림에는 두 종류의 홀이 있는데 그중 하.. 2021. 3. 7.
완성 자전거의 종류 및 부분별 명칭 완성 자전거의 부분별 명칭 1)MTB 2) CYCLE 1-6 자전거의 종류와 특징 >> 자전거의 종류 ▶싸이클(Cycle) ▶산악 자전거(Mountain Bike) - 일반 도로 싸이클 - 경륜 싸이클 - 트라이애슬론 싸이클 - 크로스 컨트리용 자전거(XC) - 프리라이딩 자전거 - DH 자전거 1) 싸이클(Cycle) - 일반 도로 싸이클 일반적인 싸이클로 가장 보편화되어 있으며 도로 싸이클 경주나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의 싸이클이다. (시트튜브와 포크의 각도가 작다. 하지만 휠베이스가 길어 장거리 라이딩시 승차감이 우수하고 또한 드롭이 커(얕아) 안정성이 좋다) * 특징 1)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크로몰리, 티타늄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여러 소재 중에 서도 알루미늄 소재가 보편화 되.. 2021. 3. 5.
고급 자전거 프레임 3대 요소 고급 자전거 프레임 3대 요소 ① 강성(Rigidity) 강성은 프레임의 구조 및 디자인(모양)변화 에 대한 저항력을 뜻한다. 다시 말해 강성은 휘지(구조가 변하지 않는)않는 저항력을 말한다. 강성은 자전거의 주행을 효율 적으로 높여 준다. ② 무게(Weight) 고급 자전거는 프레임이 차지하는 무게 비율은 약 20% 정도 이다. 고급 자전거에서 무게는 중요 한 요소 중 하나이다. ③ 내구성(Durability) 아무리 가볍고 강성이 좋아도 내구성이 떨어지면 좋은 프레임 이라 할 수 없다. 1-3 프레임 튜브의 디자인 1) 일반 튜브 일반튜브는 말 그대로 프레임 튜브의 형태가 일반적인 파이프로 만들어진 튜브이다. 2) 오버사이즈 튜브(Oversize tube) 일반 튜브보다 두꺼운 튜빙으로 만들어진 프레.. 2021. 3. 5.
자전거 프레임(Frame)의 소재와 특성 자전거 프레임(Frame)의 소재와 특성 - 자전거 프레임 재질 강철(Steel), 알루미늄(Aluminum), 카본(Carbon-Fiber), 티타늄(Titanium) 1) 강철(Steel) ▶ 강철(steel) 탄소함량이 2%이하의 소재 - C, Mn, P, S, Si Low〈0.3% Medium 0.3%-0.6% High>0.6% ① 하이-텐(Hi-Ten) 보통 강철보다 인장강도가 강한 강으로 인장강도가 50kg/mm2 이상인 강을 의미하며 줄여서 하이텐이라고도 한다. 인장강도에 따라 60킬로 하이텐 또는 80킬로 하이텐 등으로 분류하며 0.2% 정도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에 규소, 망간, 니켈, 크롬, 구리 등으로 첨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자전거를 만드는 소재 중 가장 낮은 등급의 소재이.. 2021. 3. 4.
자전거 타이어(Tire), 튜브(Tube) 장착 [자전거 정비: 자전거 부품/자전거 휠/타이어, 튜브] 자전거 타이어(Tire), 튜브(Tube) 장착 [자전거 정비: 자전거 부품/자전거 휠/타이어, 튜브] (장착방법) ① 먼저 타이어의 한쪽 비드를 림에 끼운다 ② 다음은 튜브의 밸브를 림의 밸브 구멍에 먼저 끼워 넣고 튜브의 타이어 속으로 꼬이지 않게 잘 펴서 집어넣는다. ③ 다음은 튜브 벨브가 있는 부분의 타이어 비드부터 림에 끼워 넣는다 ④ 에어 벨브를 열고 펌프로 바람을 약간 넣는다. (타이어가 말랑말랑할 정도) ⑤ 타이어를 앞뒤로 움직이며 비드가 림 사이로 잘 들어 갔는지 바퀴를 돌려가며 확인한다. ⑥ 펌프로 적정 공기압이 될 때까지 바람을 넣는다. 적정 공기압의 수치는 타이어 옆면에 적혀 있다. 2021. 3. 3.
자전거 정비 공구(TOOL)의 종류와 이해 1. 자전거 정비 공구(TOOL)의 종류와 이해 1) 일반 공구 일반공구는 가정이나 직장에서 실생활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구들을 말한다. 일반 공구에는 드라이버, 몽키스패너, 플라이어, 소켓 렌치셋, 줄, 육각 렌치, 고무망치, 쇠톱 등이 있다. 이러한 공구들은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자전거 정비에 있어 꼭 갖춰야 할 가장 기본적인 공구다. 2) 자전거 전용공구 자전거 전용공구는 자전거에 전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구를 말한다. 전용 공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나뉜다. 모든 자전거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전용 공구와 자전거 부품 생산 회사에서 생산한 제품을 정비A/S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 공구들이 있다. ▶ 자전거 전용 공구 - 작업 스탠드(Repair Stand) - 휠셋 관련 공.. 2021. 3. 2.
5.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정비법 [자전거: 제동장치/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5.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정비법 [자전거: 제동장치/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단점보다 장점이 많은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정비법을 라이 더입장에서 알아보기로 한다. 디스크 브레이크가 우리를 피곤하게 하는 것은 소음, 구름성 저하, 패드와 로터의 정렬 때문이다. 소음과 구름성 저하는 같은 내용으로 보면 됩니다. 지금부터 정비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정비요령 일반 림 브레이크 방식에 비해서 유압디스크 브레이크가 가장 강력한 제동력을 가지고 있어 산악 자전거처럼 자전거를 좀 더 전문적으로 즐기는 매니아에서 확실한 선택이 되고 있다.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의 장점 - 거친 산악에서 확실한 제동력을 제공 - 림에 약간 변형이 생겨도 주행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 타이어에 진흙 및 .. 2021. 3. 2.
자전거 튜브(Tube), 타이어(Tire)의 종류 및 구성 2. 자전거 튜브, 타이어 - 튜브(Tube) 튜브의 신축성 잇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졌으며 타이어 속에 들어간다. 보통 세 종류의 튜브 밸브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 생활자전거에 끼워지는 던롭 밸브(Dunlop Valve)와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튜브에 쓰이는 슈레더 벨브(Schrader Valve)그리고 MTB 자전거에 많이 쓰이는 프레스타 벨브(Presta Valve)가 있다. 1) 던롭 벨브(Dunlop Valve) 2) 슈레더 벨브(Schrader Valve) 3) 프레스타 벨브(Presta Valve) 자전거 튜브 밸브의 종류 - 타이어(Tire) 타이어는 바퀴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단단한 요철이 있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졌다. 타이어의 사이즈는 용도에 따라 높이와 폭이 다양하다. MTB 타이어의 공기압은.. 2021. 3. 1.
1. 자전거 휠 셋 (Wheel Set) 1. 자전거 휠 셋 (Wheel Set) 자전거 Wheel Set은 자전거의 주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부품으로 림(Rim), 스포크/니플 (Spoke/Nipple), 허브(Hub)로 이루어져 있다. 휠 셋은 단순하게 자전거의 주행만 돕는 것은 아니다. 림에 튜브와 타이어가 끼워져 있어 지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자전거 휠의 역사는 2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자전거의 휠셋은 오토바이 및 자동차의 휠 셋의 역사와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휠 셋은 자전거 종류에 따라 사용 용도, 소재, 사이즈가 다르다. 림SET를 구성하고 있는 허브와 스포크, 림은 XC(Cross Country)용, 올 마운틴(All mountain)용, DH(Down Hill)용의 특성을 알아서 적절한 부품을 선택할.. 2021. 3. 1.
4. 자전거 포크(Suspension Fork) 장착 4. 자전거 포크(Suspension Fork) 장착 (필요한 공구) ① 4~6mm 육각렌치 ② WD40 ③ 줄자 ④ TM 포크1개 (장착방법) ① 핸들바를 중앙에 맞춰 스템에 장착한다. 핸들바의 각도는 자전거를 바닥에 내려놓았을 때 핸들바의 양끝이 수평이 되도록 장착한다. 토크렌치(66~60kgf) ② 변속레버와 브레이크 레버를 핸들바에 끼운다. 이때 변속레버와 브레이크 레버의 고정볼트를 미리 조이지 않는다. ③ 그립을 장착하기 위해 먼저 그립안쪽에 WD40을 뿌려 핸들바에 끼운다. 만일 그립이 잘 들어가지 않을 경우 준비한 스포크를 그립과 핸들바 사이에 밀어 넣고 WD40을 뿌려 스포크를 한바퀴 돌리며 그립을 밀어 넣는다. 이때 바앤드를 끼울 자리를 미리 만들어 둔다. ④ 마지막으로 바앤드(bar e.. 2021.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