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용어/자동차 용어 일반

71.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자동차의 분류

by 자동차 역사가 2016. 1. 14.
반응형

71.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자동차의 분류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 제2조에 따라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로 구별한다. 이 중에서 승용자동차를 '10인이하를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로 규정하고, 승용자동차에 부과되는 세금을 엔진 배기량에 근거를 두어 다음과 같이 세분화한다.

승용자동차의 분류 기준(개정 2012. 08. 10)

차종 분류 기준

경차

배기량 1,000㏄미만으로서 길이 3.6미터•너비 1.6미터•높이 2.0미터 이하인 것

대표적인 자동차로는 기아의 모닝과 GM의 스파크가 있다.

소형차

배기량이 1,600㏄미만인 것으로서 길이 4.7미터, 너비 1.7미터, 높이 2.0미터 이하인 것

대부분의 소형차가 있기에 속하는 것으로 현대 엑센트, 아반떼가 있고 GM은 아베오를 출시하고 있다.

중형차

배기량이 1,600㏄이상 2,000㏄미만이거나 길이•너비•높이 중 어느 하나라도 소형을 초과하는 것

중형차는 현대의 쏘나타, 기아 K5, GM의 크루즈이다.

대형차

배기량이 2,000㏄이상이거나, 길이•너비•높이 모두가 소형을 초과하는 것

현대의 그랜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형차 이상이 이차급에 속한다.

자동차관리법에서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자동차 엔진 배기량이 1,300㏄-1,600㏄ 사이의 승용 자동차를 준중형차라고 부른다. 보통 정도의 차급에서 가장 편적인 차량인 현대 아반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