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온형 연료전지2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개요 3세대 연료전지로 불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산소 또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로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써, 1937년에 Bauer와 Preis에 의해 처음으로 작동되었다.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특징은 탄화수소를 직접 전기 변환시킬 수 있는데 있다. 전해질은 안정화된 산화이트늄으로 가스가 스며들지 않은 산 이온이 효율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얇은 산화지르코늄 층이다. Cathode는 안정된 산화이트늄으로 된 지르코늄으로 만들어졌고, anode는 니켈-지르코늄 세라믹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전해질 전해질로서 신소재인 지르코니아(ZrO2)가 사용되며 작동온도가 700~1000℃로서 .. 2020. 10. 14.
용융탄산염 연료 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용융탄산염 연료 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용융탄산형 연료전지 장점 보통 제2세대 연료전지로 불리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와 마찬가지로 높은 열효율, 높은 친환경성, 모듈화 특성 및 작은 설치공간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650℃의 고온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인산형 연료전지(PAFC) 또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같은 저온형 연료전지에서 기대할 수 없는 추가적인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용융탄산 연료전지 전해질 전해질은 용융탄산염이 사용되고, 고온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백금 대신 저렴한 니켈촉매가 사용되며 백금 전극에서 피독물질로 사용되는 CO를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통해 연료로 이용한다. 니켈촉매의 사용으로 비용절감의 장점이.. 2020.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