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배기 가스4 35.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시스템 모니터링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시스템 모니터링OBDⅡ(On-Board Diagnostics) 장치는 배출 가스 규제치의 1.5배를 초과하는 시스템 부품의 오작동과 노화, 열화를 검출한다. OBDⅡ는 다음과 같은 배출 가스 관련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촉매성능 감지(Catalyst Monitoring)OBDⅡ(On-Board Diagnostics)는 배기 다기관에서 촉매의 전후에 산소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출력 전압의 폭을 비교하여 촉매의 정화효율이 규제치의 1.5배를 넘으면 경고등을 점등한다. 산소센서 감지(O2 Sensor Monitoring)OBDⅡ(On-Board Diagnostics)는 배기 다기간의 촉매 전후에 설치한 두 개의 산소 센서의 기능 이상 여부는 출력된 전압의.. 2015. 12. 2. 34. 자동차 OBD장치,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기능과 시스템 구성 34. 자동차 OBD장치, OBDⅡ(On-Board Diagnostics)의 기능과 시스템 구성OBDⅡ (On-Board DiagnosticsⅡ) 기능OBD(On-Board Diagnostics)장치는 배출 가스에 관련 있는 각종 자동차 부품이나 시스템에 대하여 자가 고장 진단 시스템이다. OBD를 장착하면 배출 가스 장치의 구성품의 고장 및 비정상 작동으로 배기가스가 규제치 이상으로 발생하면 사전에 경고함으로써 대기 오염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사전 경고는 자동차 계기판 램프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준다. 분기별로 동일 결함율이 4% 이상일 경우에는 자동차 메이커에서 리콜(Recall)을 실시하며 문제점을 조치해야 한다. OBD(On-Board Diagnostics) 시스템의 구성OBDⅡ(On-Bo.. 2015. 12. 1. 31. 자동차 유해 배출 가스인 일산화탄소(CO)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31. 자동차 유해 배출 가스인 일산화탄소(CO)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일산화탄소(CO)는 가장 유해한 자동차 배출 가스이다. 일산화탄소는 호흡에 의해 몸 속으로 들어가면 혈액 속의 해모글로빈과 결합하여(산소의 결합력보다 일산화탄소의 결합력이 세므로) 산소의 운반 작용을 저해하므로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결합이 20%가 되면 두통, 현기증 등의 가스 중독 현상을 일으키고 이 수치가 60% 정도가 되면 사망이 이를 수도 있는 자동차 배출 가스이다 공연비와 일산화탄소(CO)의 발생 영역 일산화탄소(CO)는 이론공연비에 가까울수록 발생량이 감소하고 농후 할 때 발행하는 특성이 있다. 국부적으로 공기 과잉율이 1보다 크거나, 배기행정 중 불완전 연소 시 생성되는 특성으로 공기 과잉율이 1보다 같거나 클 때도 조금.. 2015. 11. 29. 38. 주행 중 배기관에서 흰색 배기가스 발생 시 원인과 대책? [자동차 정비 : 기관/엔진] 38. 주행 중 배기관에서 흰색 배기가스 발생 시 원인과 대책? [자동차 정비 : 기관/엔진] NO 예상 원인 점검 및 조치 사항 1 밸브 가이드 고무의 파손 가이드 고무 교환 2 밸브의 휨 밸브 교환 3 밸브의 밀착 불량 밸브 래핑 작업 및 스프링 교환 4 피스톤 및 실린더 마모 실린더 간극을 측정한 후 실린더 보링 후피스톤 및 피스톤링 교환 -------------------------------------------------------------------------------------------------------------- 중고 자동차 점검 및 매매 지원 서비스(www.korea-autonews.com) (https://korea-autonews.tistory.com/category/%E.. 2015. 2.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