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2 20.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법률 소개 20.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법률 소개최근의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에 관한 법률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자.자동차 배출가스 종류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46조)- 휘발유•가스차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알데히드 - 경유차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매연, 입자상물질제작차 배출허용기준 (대기환경보전법 제46조 및 제50조의2)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은 차종별 배출가스 종류별로 설정돼 있으며 국내 기준은 휘발유와 LPG차의 경우 미국 캘리포니아주 기준(NMOG Fleet Average System)을 준용하고 있고, 경유차는 유럽 기준(EURO)을 준용하고 있음- 휘발유•가스차 : ULEV(2012.7.1 이후 SULEV 단계적 확대) - 경유차 : 2009.9.1 이후 EURO5, 2.. 2016. 1. 12. 9.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교토 의정서 주요 내용 및 한계 9. 지구 온난화 및 온실 가스 문제 해결을 위한 교토 의정서 주요 내용 및 한계 교토 의정서의 배경교통 의정서의 주요 내용은 기후 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관한 의정서이다. 여러분도 잘 아시겠지만 자동차 수송 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은 온실 가스 배출의 20% 이상을 초과함으로 자동차 내연 기관의 온실 가스 배출과 교통 의정서는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주요 내용은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 변화 협약의 구체적 이행 계획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하였다. 즉 주요 협약의 대상국은 선진국의 온실 가스 감축을 목표했다는 점이다.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그러나 협상 과정에서 온실 가스 협약에.. 2015. 12.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