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설계7

116.GD&T(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기하학적 치수 및 공차) [자동차 용어:일반] 116.GD&T(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기하학적 치수 및 공차) [자동차 용어:일반]부품의 기능과 부품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부품형상에 대한 기하학적 공차치수를 기입하는 방법 2019. 1. 31.
95. Design Review (설계 검토)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설계, 일반] 95. Design Review (설계 검토)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설계, 일반]' - TDR (Technical Design Review) : 기술적 설계 및 개발 검토 - FDR (Formal Design Review) : 형태적(공식적) 설계 및 개발 검토 2018. 12. 5.
107. 디바이더(Divider) [자동차 용어: 프레스 금형] 107. 디바이더(Divider) [자동차 용어: 프레스 금형]Pallet내 적재된 Panel의 하단부 고정 및 panel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part별로 여러 형상이 있다. 2017. 2. 8.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5. 자동차 차체 설계 시 차체의 역할 및 요구 성능 1. 개 요 차체는 엔진롬, 펜더, 필러, 플로워, 루프레일, 트렁크룸으로 구성되며 탑승자의 안전성과 거주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이다. 2. 차체 설계 요구 조건 1) 안전하고 편안한 거주 공간 확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고,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함과 더불어 쾌적함과 정숙성을 제공해야 한다. 2) 아름다운 스타일링 엔진이나 레이아웃에서 차체의 구조나 형상 등이 아름다운 스타일링과 기능을 양립시켜야 한다. 3) 주행에 필요한 부품 탑재 엔진 및 서스펜션 시스템 등에 적당한 강도와 강성이 필요하다. 4) 충돌성능 차량의 운동 에너지가 차체의 변형 에너지로 변화될 때 탑승자에게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 1) 충돌 성능의 기술동향 CAE.. 2015. 11. 4.
4. 차체의 안전 설계와 존 바디(Zone Body) [자동차 용어: 차체/설계/개발] 4. 차체의 안전 설계와 존 바디(Zone Body) [자동차 용어: 차체/설계/개발] 1. 정의 차체는 충돌 시 탑승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해 다양한 존(Zone, 구역)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차체를 존 바디(Zone Body) 또는 세이프티 존 바디(Safety Zone Body0라고 한다. 2. 종류 1) 세이프티 존(안전 확보 구역, Safety Zone) 차량 충돌 시 변형을 최소화하여 탑승자의 안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2) 크럼플 존(Crumple Zone) 차량 충돌 시 전/후면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2015. 11. 3.
43. 기본 단면(Basic section)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43. 기본 단면(Basic section)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 주요 부위의 차체 부품 Matching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나타낸 각 부위별 중요 단면 2015. 1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