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세차7

62. 자동차 알루미늄 및 크롬도금 휠 세척 및 점검 [자동차 운전/관리] 62. 자동차 알루미늄 및 크롬도금 휠 세척 및 점검 [자동차 운전/관리]알루미늄 및 크롬도금 휠은 투명한 보호처리제로 코팅 되어 있다.- 마찰 세제, 광택제, 솔벤트, 또는 와이어 브러시를 알루미늄 및 크롬 도금 휠에 사용하지 않는다. 표면에 자국을 내거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운행 후 휠을 세척하기 전에 식을 때까지 기다리세요. 그리고 부드러운 비누나 중성세제만을 사용하시고 물로 깨끗이 헹구십시요. 염분이 많은 지역이나 염화칼슘이 도포된 지역을 주행한 경우에는 휠을 깨끗이 청소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한다.- 고속 세차 브러시로 바퀴를 닦지 않도록 한다. - 스팀 클리너 등으로 세척하지 않도록 한다.※ 주의알루미늄 및 크롭도금 휠 세척 시 알카리성, 산성계 세제를 사용하지 말도록 한다. 휠 도장면이.. 2014. 12. 14.
60. 자동차 하부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 60. 자동차 하부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엔진부를 물로 닦으면(또는 고압세차) 엔진부에 위치한 전기회로 또는 에어덕트로 물이 유입되어 정상적인 차량 운전이 불가능 할 수 있다.차를 세척한 뒤, 서행하면서 브레이크를 시험해서 브레이크가 물에 영향을 받았는지 점검 하도록 하도록 한다. 2014. 12. 14.
58. 자동차 세차시 하체 점검 [자동차 운전/관리] 58. 자동차 세차시 하체 점검 [자동차 운전/관리]얼음이나 눈 제거, 또는 먼지제거에 사용된 부식성 물질이 하체에 쌓을 수 있다 만일 이런 물질들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방청처리를 했다 하더라도 연료계, 프레임, 플로어 판넬, 배기 장치 등에 녹이 발생하여 빠르게 번질 수 있다.차량의 하체와 휠의 열린 부분을 한달에 한번씩, 비포장 도로 주행 후, 겨울철 끝 무렵, 미지근하거나 차가운 물로 깨끗이 닦도록 한다.진흙이나 오물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특별히 주의해서 닦도록 한다.도로 오물을 깨끗이 닦아 내지 않고 적시기만 하는 것은 더 좋지 않다. 도어, 로커 판넬 그리고 배출 구명이 있는 프레임 멤버 등은 오물로 막혀서는 안됩니다. 이런 곳에 물이 고이면 녹이 슬 수 있다. 2014. 12. 11.
57. 자동차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 57. 자동차 세차 시 주의 사항 [자동차 운전/관리]1. 자동세차기에서의 세차는 차체의 잔긁힘을 만들어 도장면이 손상될 수도 있다.2. 램프 세척 및 손질 시 휘발유나 아세톤 또는 휘발성 유기용제(초강력 세정제)등의 화학 용제 사용은 램프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3. 타이어 알루미늄 휠 부분 세척시, 산성계 세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휠 도장면이 손상될 수 있다.4. 세차 시 도어 실링부 및 위쪽 유리부를 통해 실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고압세척기 사용시 특히 주의 하도록 한다.5. 자동 세차 후 앞유리 표면 왁스는 완전히 제거하도록 한다. 와이퍼 작동 시 떨림 및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014. 12. 11.
56. 자동차 내장 손질 시 일반적인 주의 사항 [자동차 안전/관리] 56. 자동차 내장 손질 시 일반적인 주의 사항 [자동차 안전/관리]- 내장품 표면에 화학 물질(손 세정제, 종이 방향제, 선크림 등)이 묻지 않게 한다. 화학물질이 묻었을 경우, 실내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즉시 제거 하도록 한다.- 내장품을 세척할 때는 아세톤, 벤젠, 락카용제, 에나멜 및 표백제, 휘발유 또는 신나 등의 유류 뮬질 등을 절대로 사용하지 말도록 한다. 변색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액상 방향제를 실내에 사용할 때 계기판 부위, 크래쉬 패드, 가죽 및 플라스틱 부분에는 절대 부착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액상 방향제가 유출되어 계기판 부위, 크래쉬 패드 및 공기 통풍구 등에 묻으면 액상 방향제 고유의 성분에 의해 손상 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신속하게 깨끗한 물로 세척하도록 한다.-.. 2014. 12. 10.
55. 자동차 외관의 세차 방법 [자동차 안전/관리] 55. 자동차 외관의 세차 방법 [자동차 안전/관리]1. 표면에 녹이 발생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소 한달에 한 번씩은 미지근한 물이나 찬 물로 깨끗이 세척하도록 한다.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는 매 주행 후에 세척하도록 한다. 소금, 먼지, 진흙, 또는 다른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도록 깨끗이 제거하도록 한다.2. 곤충, 타르, 수액, 새의 오물, 산업 오염물이나 이와 유사한 퇴적물 등은 즉시 제거하지 않으면 차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보통 물로는 빨리 씻어내도 완전히 닦이지 않으므로 도장 표면에 안전하고 부드러운 세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세척 후에는 미지근 하거나 찬 물로 깨끗이 헹구도록 한다. 비누 가루가 표면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한다.3. 세차 시에는 도어 창문 등을 닫아 .. 2014.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