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스타일4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 12. 자동차 스타일에 따른 분류 [자동차 차체 종류 및 구분]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것들이 있고 그 구조도 매우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승용차 보디의 기본 형상별로 구분했으며 그 기능 및 형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세단(Sedan) 고정된 객실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객실에 2열의 좌석을 설치한 4∼6인용의 승용차다. 도어(door)의 수에 따라 2도어 세단, 4도어 세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통 4 도어 승용차를 세단이라고 부른다.□ 하드 톱(Hard Top)원래는 금속판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객실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센터 필러(Center Pillar)가 없는 세단형 승용차를 말한다. 루프 부위를 탈부착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쿠페(Coupe)2도어 세단보다 약간 .. 2016. 4. 9.
52. 해치백(HATCH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 52. 해치백(HATCH BACK) : 자동차 스타일 [자동차 용어:일반]왜곤으로서 다용성을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설계한 승용차 형식. 특히 소형차의 경우 실내공간이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형식으로서 리프트 백(Lift Back), 스윙백(Swing Back), 오픈 백(Open Back)이라고도 하면 일명 ‘2박스 카’라고도 불린다. 현대의 i30가 여기에 해당한다. 2014. 11. 18.
4. 자동차 스타일 (PLAIN BACK, NOTCH BACK, HATCH BACK, FAST BACK)[자동차 용어:일반] 4. 자동차 스타일 (PLAIN BACK, NOTCH BACK, HATCH BACK, FAST BACK)[자동차 용어:일반]1. 플레인 백(PLAIN BACK)프로토 타입(Proto Type) 스포츠카나 미드쉽 엔진의 슈퍼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 본래의 패스트 백에 비해 고속으로 달릴 때 차체의 뒤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 바람이 차를 뒤로 당기는 힘이 적어지고 뒷부분의 옆면적이 크기 때문에 옆바람의 작용점이 중심보다 뒤쪽으로 이동, 힘이 상쇄됨으로써 옆바람의 영향이 작아진다. 달릴 때의 안전성도 좋으며 패스트 백에 비해 실내 뒷부분의 공간을 크게 해주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패스트 백 모델이 프레인 백의 영향을 받아 거의 양자를 구별하기 힘들다.2. 노치백(NOTCH BACK)차체 뒤쪽의.. 2014. 8. 10.
3. 자동차 형태 (ONE BOX,TWO BOX,THREE BOX, 1.5 BOX)[자동차 용어:일반] 3. 자동차 형태 (ONE BOX,TWO BOX,THREE BOX, 1.5 BOX) [자동차 용어:일반] 1. 1박스(ONE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차체 전체가 하나의 상자로 보이는 형식. 1박스 웨곤(Wagon)을 생략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그레이스, 베스타 등이 있다. 2 .2박스(TWO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엔진실과 차체실내가 2개의 상자로 덮혀 있는 것과 같은 형식. 지프와 해치백식의 승용차가 이 형식에 해당되면 트렁크 부분은 실내에 있다. 3. 3박스(THREE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차량을 옆에서 보았을 때 엔진실, 차체실내, 트렁크의 3개 상자로 이루어져 있는 형식이며 3 보디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세단의 형태이고, 이 형식은 1.. 2012.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