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엔진기관 용어25 146. 실린더(Cylinder)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46. 실린더(Cylinder)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피스톤이 왕복하는 부분.피스톤 행정의 2배의 길이이며 진원통(眞圓筒)으로 가공되어 있다. 또한 압축된 혼합기나 연소가스가 새지 않도록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고 피스톤의 섭동에 의한 마찰이나 마모를 적게하기 위해 실린더 벽은 정밀하게 가공되어 있다. 2014. 11. 9. 145. 점화 플러그(Ignition Plu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45. 점화 플러그(Ignition Plu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혼합기를 점화하여 폭발시키는 플러그.전극부, 절연체, 플러그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면 온도 2000℃ 이상, 연소압력 30~40kg/㎠, 전압 2만 V 이상의 고온, 고압에 견디어야 한다. 2014. 11. 8. 144. 녹크 센서(Knock Sensor)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44. 녹크 센서(Knock Sensor)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엔진에서의 녹킹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원리는 일종의 가속도 센서이며, 진동 가속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고니켈합금 자왜(磁歪) 효과를 이용한 자왜형과 압전(壓電) 효과를 이용한 압전형이 있다. 주로 터보 차저 장착 차량에 채택된다. 2014. 11. 8. 143. 퍼코레이션(Percolation)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43. 퍼코레이션(Percolation)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기화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과농 혼합기에 의한 시동 불능의 고장.차량을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주행한 후에 엔진을 일단 정지시켰다가 잠시 후 다시 시동하려 해도 연소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며, 그 원인은 기화기의 뜨개실(Float Chamber)이 엔진에 남은 열기로 가열되어 가솔린이 증발해서 노즐 등을 지나 다량으로 기화기 배럴이나 흡기 매니홀드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고장을 조치하려면 과농한 혼합기를 측출시키면 되나 그 정도가 심할 때는 엔진이 냉각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좋다. * 관련 용어2014/09/19 - [자동차 용어/엔진용어] - 39. 기화기(Carburetor) [자동차 용어 : 엔진] 2014. 11. 8. 142. 제트에어 장치(Jet Air System) [자동차 용어 : 엔진/기관] 142. 제트에어 장치(Jet Air System) [자동차 용어 : 엔진/기관]제트 공기를 유입시켜 점화 플러그 주위에 있는 잔류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양질의 점화를 촉진시키며 점화 후 불꽃의 전파를 향상시켜 높은 연소 효율을 유지시키는 장치.제트 에어 통로, 제트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제트밸브는 흡기밸브와 동시에 열리고 닫힌다. 2014. 11. 8. 141. 자기보정장치(Fail Safe Function)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41. 자기보정장치(Fail Safe Function)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차량 주행 중 일부에 결함 또는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다른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결정적인 사고나 파괴를 예방하는 장치.전자제어 연료분사 방식 차량이나 전자제어 자동 트랜스미션 장착차량은 엔진 및 차량 주행 상태에 대한 여러 가지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가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제어하기 때문에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면 성능에 큰 문제가 생긴다.센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억 장치 내에 저장돼 있는 임의의 값으로 보정해 차량이 운행하는데 이상이 없도록 해준다. 2014. 11. 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