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V4

전기차(electric car)의 구성 및 주요 부품 전기차(electric car)의 구성 및 주요 부품 전기차(electric car)의 주요 부품과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전기차의 주요 부품으로는 전기차 2차 배터리, 전기차 구동 모터, 감속기, DC-DC 컨버터, 인버터(Inverter)와 이를 총괄하는 VCU(Vehicle Control Unit)등이 있다. 최근에 전기차 판매량의 증가에 따라 전기차의 대중화 시대도 멀지 않았다. 그러면 전기차와 기존에 우리가 타고 다녔던 내연기관 자동차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전기자동차의 구동 원리와 더불어 주요 부품의 종류와 기능들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자.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모터를 회전하여 주행합니다. 화석 연료를 연소 시켜 구동 에너지를 얻는 내연기관차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따라서 전기.. 2021. 2. 5.
도요타, 2021년 전고체(Solid State) 배터리 EV 시제품 공개 도요타, 내년 전고체(Solid State) 배터리 EV 시제품 공개 그 기술은 전기 자동차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것이다. 전고체(Solid State) 배터리를 장착한 최초의 전기 자동차 생산 경쟁에서 도요타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니케이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이 일본 거대 기업은 2020년대 초에 생산차가 판매될 예정으로, 2021년에 첫 번째 작업용 시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기술은 전고체(Solid State) 배터리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더 작고, 더 빠르고, 더 안전하고, 더 많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EV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것이다. 그들은 Li-ion 단위에서 발견되는 액체 또는 젤 폴리머 전해질보다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합.. 2020. 12. 24.
4. 친환경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구성과 주요 부품 소개 친환경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구성과 주요 부품 소개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정의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역사가솔린 자동차가 출현되기 훨씬 이전인 1873년 영국의 R. Davidson에 의해 최초로 제작되었으나 1차 세계대전 후 정유 산업의 발달과 내연 기의 기술적 진보에 따라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80년대에 들어서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공해문제가 대두되면서 그 해법으로 전기자동차의 사용이 제시되었으나 축전지 기술부족으로 상용화가 미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자 산업의 발달에 따른 .. 2015. 12. 10.
3. 전기 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3. 전기 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전기 자동차(electric car) 혹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의 2차 전지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전 상태와 잔여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Hybrid Electric vehicle)자동차 내 타 제어 시스템과 통신하며 전지가 최적의 동작 환경을 조성하도록 환경을 제어하는 2차 전지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사진1. 모비스의 신개별 BMS(Batter Management System)시스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2015.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