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xhausted Gas Reciculation2

5. EGR율 5. EGR율 1. EGR율 영향 공기 과잉률이 낮은, 즉 람다값이 적으면 매연과 PM 발생이 급증하므로 EGR 적용은 공기 과잉률이 높은 부분부하(람다값이 클 때) 주로 작동하며 EGR율의 결정은 CO, HC, 매연과 연비의 증가가 없는 범위내에서 결정 - EGR율 X=EGR 가스랑/(흡입 공기량+EGR 가스양)×100 - EGR 가스양 = 배기량-흡입 공기량 2. EGR 작동 1) 과부하 영역에서 EGR을 적용하면 O2의 부족으로 매연 및 HC가 증가한다. 2) EGR의 적용은 중/저 부하 영역에서 효과를 높인다. 3) 전자제어 EGR을 적용하여 RPM 및 부하를 연산하는 정밀 제어가 좋다. 4) HOT EGR 저 Nox화를 목적으로 분사 시기를 대폭 지연하면 HC를 동반하는데 이때 적당한 HOT E.. 2015. 10. 12.
4. ERG 밸브,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4. ERG 밸브, 배기 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1. EGR 밸브재순환 통로에 설치되어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EGR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배기 가스 내의 질소산화물(NOx)을 줄이기 위하여 배기 가스의 일부분을 흡기 매니홀드로 재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 장치는 배기포트의 진공, 배기압력,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작동이 되면 차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서머밸브, 배기가스 재순환 솔레노이드 밸브, 진공 조절 밸브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2. EGR 작동법 : 기계식과 전자식이 있다.3. E-EGR 작성 : 엔진 회전 속도와 부하, 냉각수 온도 등을 감지해 엔진 작동상태를 파악, 전자식 모터나 전자식 밸.. 2015.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