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1 3.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Car)가 연비가 좋은 이유 3.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Car)가 연비가 좋은 이유 1) 아이들 스톱/고(Idle Stop/Go) 자동차가 정차하거나 감속 중일 때 엔진을 끔으로써 아이들 상태에서 불필요한 연료와 배기가스의 배출을 줄인다. 2)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 System)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는 제동 시 제동 에너지를 마찰 브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열로 발산시키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는 이 에너지를 발전기를 전환하여 전동기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회수된 에너지는 자동차의 전장을 구동하거나 전동기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3) 파워 어시스트(Power Assist) 차에 급격한 가속이 요구될 때 전동기의 동력 보조를 이용해서 이를 충족시키고 엔진 운.. 2015. 11. 11. 52. 내구품질지수(Vehicle Dependability Index, VDI)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52. 내구품질지수(Vehicle Dependability Index, VDI)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용어] 신차 4~5년 후 1년 후 100대당 발생한 고객 불만 결함 건수. 2015. 11. 11. 366. 내구성(Durability) [자동차 용어: 도장/페인트] 366. 내구성(Durability) [자동차 용어: 도장/페인트] 피도물의 보호. 미장 등 도료의 사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막 성질의 지속성 2015. 11. 11. 93. 내경(內徑)마이크로미터(Inside Micrometer) [자동차 용어: 기계] 93. 내경(內徑)마이크로미터(Inside Micrometer) [자동차 용어: 기계] 내경 측정용의 마이크로미터. 측정범위는 5~25mm, 25~50mm, 50~75mm 등이 있고, 정도는 5㎛~10㎛까지 측정 가능하다. 2015. 11. 11. 1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Rolling Radius)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Rolling Radius)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념 타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차량은 개발 당시 요구되는 차속과 구동력 등에 따라 적절한 엔진의 회전속도에 맞춰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주행 중 동하중 반경의 변화가 크게 되면 차속과 구동력도 바뀌게 되어 성능상의 오차를 가져온다. 2. 차량 속도계 기준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에서 얻어진 설제 차속이 아니라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기준 삼아 실제 차속을 추정한다. 이런 이유로 차량속도계 차속 실제 차속과의 오차가 있다. ◇ 실제 차량속도(km/h)=2π동하중반경×(엔진rpm)/(변속비×종감속비)×60/1,000 2015. 11. 10. 9. 타이어 편평비(Aspect Ra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9. 타이어 편평비(Aspect Ration) [자동차 전문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념 (타이어 높이/타이어 단면폭)×100으로 표시하며, 시리즈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한다. 고편평비 타이어를 일반 타이어, 저편평비 타이어를 광폭 타이어로 부르고 있으며, 충력 흡수력과 주행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상관 관계가 있다. 2. 특징 저편평비 타이어는 노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고, 사이드월(Side Wall)의 강성이 커서 고속 주행에 유리하고, 핸들링 시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충격 흡수면에서 불리하다. 2015. 11. 10.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3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