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1 48 .4행정 싸이클 기관(4 Stroke Cycle Engine) [자동차 용어:엔진 48 .4행정 싸이클 기관(4 Stroke Cycle Engine) [자동차 용어:엔진]흡입, 압축, 연소, 배기의 1사이클을 크랭크 샤프트의 2회전 즉, 피스톤의 4행정으로 완료하는 기관 * 관련 용어2014/09/21 - [자동차 용어/엔진 용어] - 62. 2행정 싸이클 기관(2 Stroke Cycle Engine) [자동차 용어:엔진] 2014. 9. 21. 47. 커넥팅 로드(Connectiong Rod) [자동차 용어:엔진] 47. 커넥팅 로드(Connectiong Rod) [자동차 용어:엔진]피스톤과 크랭크 샤프트를 연결하는 막대피스톤핀과 결합된 부분을 소단(小端:Small End),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된 부분을 대단(大端 : Big End)이라고 하면 대단부에는 보통 분할형 평베어링(Plain Bearing)을 사용한다.대단부에 사용하는 베어링을 커넥팅로드 베어링이라 하며 커넥팅 로드 축 부분에는 소단과 대단을 통과하는 오일 통로가 뚫려 있는 것도 있다.* 관련 용어2012/04/19 - [자동차 정비] - 1. 기관 1)크랭크축 엔드프레이(End Play) 과다 시 나타나는 증상 2014. 9. 21. 46. 실린더 행정 내경비(Cylinder Stroke Bore Ratio) [자동차 용어:엔진] 46. 실린더 행정 내경비(Cylinder Stroke Bore Ratio) [자동차 용어:엔진]실린더 행정과 내경과의 비율.행정과 내경의 비가 1.0보다 큰 엔진을 장방형 엔진(Long stroke engine) 1.0의 엔진을 정방엔진(Square Enginer) 1.0 보다 작은 엔진을 오버스퀘어 엔진(Oversquare Engine) 또는 단행정엔진(Short Stroke Engine)이라고 한다. * 관련 용어2014/09/19 - [자동차 용어] - 53.V형 실린더(V-Type cylinder) [자동차 용어 : 엔진]2014/09/13 - [자동차 용어] - 32.실린더 라이너(Cyclinder Liner) (자동차용어:엔진)2012/04/20 - [자동차 정비] - 1. 기관 2) 실린더.. 2014. 9. 21. 45.발전기(Alternator) [자동차 용어: 엔진] 45.발전기(Alternator) [자동차 용어: 엔진]자동차의 각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벨트에 의해 기관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발전기는 스타터 모터와는 반대로 회전력으로 전기를 만들며 주로 교류발전기가 사용되는데, 스테이터 안쪽에서 로터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로터는 기관과 연결된 V벨트에 의해 구동된다. 엔진에 의해 구동되므로 엔진이 고속 회전하게 되면 전류가 증대되므로 이것을 제어하는 전압 조정기가 필요하다. * 관련 용어2014/08/15 - [자동차 부품] - 9. 점화장치(Ignition)2014/09/16 - [자동차 용어] - 40. 스타터 모터(Starter Motor) [자동차 용어 : 엔진] 2014. 9. 21. 20. 스마트 키(Smart Key) [자동차 사양] 20. 스마트 키(Smart Key) [자동차 사양]스마트 키는 일반 키와는 달리 휴대만으로 도어(트렁크,테일케이트 포함)를 잠그거나 열고, 엔진 시동을 걸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지능형 자동차키인 스마트키는 차량 내부에 탑재된 스마트키 컨트롤 유닛에서 스마트키 수신기와 자동차 내장 안테나의 양방향 통신을 조절해 자동차 문을 열고 닫으며 시동까지 걸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에요. 여기에 보안 기능 강화를 위해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시스템도 적용된다.대표적인 스마트키 시스템으로 스마트키를 몸에 소지하고 차량에 접근하면 무선을 이용한 ID 인증을 통해 도어락이 해제되고, 승차 후 시동 스위치를 누르면 무선 ID 인증 후 엔진 시동이 걸려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2014. 9. 21. 18. 디젤 차량 일일 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 18. 디젤 차량 일일 점검 항목 [자동차 정비]1. 각종 전기 장치 점검2. 각종 오일 누유,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점검3. 냉각 수량 점검 및 교체(최초 교체 : 20만km 또는 10년, 최초 교체 후 4만km 또는 매2년마다 교체)4. 배터리 상태 점검5. 브레이크/클러치 액 점검6. 시동 불능 시(재시동 3회 이내 제한) 점검7. 앞 바퀴 정렬 상태 점검(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8. 연료필터 물 배출9. 엔진 부조 시 점검10.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점검11. 연료라인 및 연결부 누유 점검12. 연료량 점검(연료부족 경고등 점등시 즉시 주유)13. 연료호스, 연료 주입구 캡 점검14. 브레이크 페달 유격(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점검15. 타이어 공기압, 마모상태 점검 2014. 9. 20. 이전 1 ··· 360 361 362 363 364 365 366 ··· 3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