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371 26.압축비(Compression Ratio) [자동차 용어 : 엔진] 26.압축비(Compression Ratio) [자동차 용어 : 엔진]피스톤이 하사점에 달하였을 때의 실린더 총 체적과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의 실린더 체적비. * 관련 용어2014/09/13 - [자동차 용어] - 32.실린더 라이너(Cyclinder Liner) (자동차용어:엔진) 2014. 9. 15. 25. 오일 등급(Oil Grade) [자동차 용어:엔진] 25. 오일 등급(Oil Grade) [자동차 용어:엔진]오일을 용도에 따라 분류한 표식.API(American Petroleum Institude-미국 석유협회) 분류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가솔린 엔진용의 S(Service)계와 디젤 엔진용(Commercial)계로 양분된다.다시 이들을 A, B, C, D 등으로 세분하여 오일의 질을 나타내는데, SG, CD 등급의 오일이 SE, CC 등급의 오일보다 사용 조건이 가혹한 엔진용의 오일로서 더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관련 용어2014/09/14 - [자동차 용어] - 36. 점도(Viscosity) (자동차 용어:엔진) 2014. 9. 15. 37. ALFASUD, 1971 [자동차 모델] 37. ALFASUD, 1971 [자동차 모델]루돌프 허루스카(Rudolf Hruska, 1915~1995)는 2차 대전 후 이태리에서 가장 능력 있는 유능한 ‘자동차 맨’이었다. 루돌프는 오스트리아에서 출생하여 1938년 설계 엔지니어로 페르니난도 포르쉐(Ferdinand Porsche) 회사에 입사하여서 새로운 폭스바겐의 설계와 생산 계획을 세우는데 일조하였다. 전쟁 말기에, 그는 이태리에서 추방되어 포르쉐 디자인 트랙터 회사인 Offincine Meccnaiche(OM)에서 일하였고 Tazio Nuvolari와 같은 자동차 경주를 통해서 Cisitalia를 알게 되었고, 이것은 그가 이태리 자동차 산업에 관계되는 계기가 되었다. 1951년까지 그는 알파 로메오(Alfa Romeo)에서 자문을 했다... 2014. 9. 14. 15. 자동차 엔진 오버히트(Over Heat) 과열 시 조치법 (자동차 정비) 15. 자동차 엔진 오버히트(Over Heat) 과열 시 조치법 [자동차 정비]1) 발생 조건 꼭 기온이 높을 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냉각수가 부족할 때, 한랭 시 냉각수 중에 부동액이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엔진 내부가 동결되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을 때도 오버히트가 발생할 수 있다. 냉각수의 비율이 너무 높거나 낮아도 냉각 성능이 떨어져 오버히트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예방 대책 냉각수는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자. 냉각수 수온계가 장시간 적색 눈금을 가리키면 엔진 오버히트가 발생되며, 엔진의 출력이 떨이지고 엔진이 너무 뜨거워 노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는 즉시 차를 멈추고, 엔진을 가동 시킨 상태에서 후크를 열어 천천히 엔진을 식히도록 하자.*관.. 2014. 9. 14. 24. 점도(Viscosity) (자동차 용어:엔진) 24. 점도(Viscosity) (자동차 용어 : 엔진)오일의 점성비율.물과 같이 점성이 거의 없는 것을 점도가 작다고 한다. 점도가 높은 오일의 유막은 두껍고 큰 힘을 유지하지만 지나치게 크면 저항도 함께 커지게 되고, 점도가 지나치게 크면 저항도 함께 커지게 되고, 점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저항은 작지만 유막이 파괴되어 윤활작용이 이루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조건에 따라 적당한 점도의 오일을 사용해야 한다.일반적으로 SAE(Society of Automtive Engineers-미국 자동차 기술협호)번호로 표시하며 번호가 클수록 점도가 높은 것을 뜻한다. SAE5W 한냉지용 SWA 10W 동절기용 SAE 20W SAE 20 SAE 30 일반용 SAE 40 하절기용 * 관련 자료2014/09/03 - [자동.. 2014. 9. 14. 23.로커암(Rocker Arm) (자동차 용어 : 엔진) 23.로커암(Rocker Arm) (자동차 용어 : 엔진)밸브 개폐를 위한 힘의 방향을 바꿔주는 방향전환 기능의 암.OHV와 OHC와 같이 헤드에 밸브가 있는 형식의 엔진에서는 밸브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의 개폐를 위해 힘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로커암은 실린더헤드에 부착된 로커암 샤프트에 그 중간부분이 지지되어 있으며 한쪽 끝을 푸쉬로드로 밀어 올리면 다른 쪽 끝은 밸브 스템 엔드를 눌러 밸브를 여는 작동을 하게 된다. * 관련 자료2014/09/13 - [자동차 용어] - 33.분사노즐(Injection Nozzle)2014/09/13 - [자동차 용어] - 32.실린더 라이너(Cyclinder Liner) (자동차용어:엔진)2014/09/12 - [자동차 용어] - 31.푸쉬.. 2014. 9. 14. 이전 1 ··· 365 366 367 368 369 370 371 ··· 3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