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용어/섀시 용어191 53. 패드 마모 경보장치(Pad Wear Warning Device) [자동차 용어:섀시] 53. 패드 마모 경보장치(Pad Wear Warning Device) [자동차 용어:섀시]디스크 브레이크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일정 두께 이상 닳았을 때 경보음이 나는 장치이다.브레이크 패드를 교환하라는 신호이다. * 관련 용어2014/10/12 - [자동차 용어/섀시용어] - 42.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자동차 용어: 섀시] 2014. 10. 13. 52. 브레이크 페달 자유 유격(Brake Pedal Free Play) [자동차 용어: 섀시] 52. 브레이크 페달 자유 유격(Brake Pedal Free Play) [자동차 용어: 섀시]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마스터 실린더 유압이 브레이크 라이닝을 밀어서 드럼에 닿을 때까지의 간격이다.브레이크 라이닝이 드럼과 붙어 있으면 마찰이 생겨 파열되어 제동력이 저하 되므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야 한다. 2014. 10. 13. 51. 자동조정 장치(Self Adjusting Device) [자동차 용어: 섀시] 51. 자동조정 장치(Self Adjusting Device) [자동차 용어: 섀시]드럼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면 슈와 드럼과의 간극이 크게 되므로 슈와 드럼과의 간극을 항상 적절한 상태로 유지시켜 안정된 제동력을 얻게 하는 장치이다.일반적으로 리딩 트레일링슈식과 듀어 서보식에 있으며 핸드 브레이크를 잡아 당겼을 때 작용한다. * 관련 용어2014/10/13 - [자동차 용어/섀시용어] - 47.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 [자동차 용어: 섀시] 2014. 10. 13. 50. 프로포셔닝 밸브(Proportioning Valve) [자동차 용어:섀시] 50. 프로포셔닝 밸브(Proportioning Valve) [자동차 용어:섀시]브레이크 오일의 유압을 조절하여 제동력을 분산시키는 장치.제동시 뒷브레이크가 먼저 작동하면 타이어가 끌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터 실린더와 휠 실린더 사이에 설치하여 오일의 유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관련 용어2014/10/12 - [자동차 용어/섀시용어] - 36.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 [자동차 용어: 섀시] 2014. 10. 13. 49. 페이드 현상(Fade) [자동차 용어: 섀시] 49. 페이드 현상(Fade) [자동차 용어: 섀시]내리막 길에서 브레이크를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라이닝과 드럼 또는 디스크와 패드간의 접촉면의 마찰계수가 저하되어 제동시 제동력이 떨어져 밀리는 현상이다. 2014. 10. 13. 48. 배기 브레이크(Exhaust Brake) [자동차 용어: 섀시] 48. 배기 브레이크(Exhaust Brake) [자동차 용어: 섀시]배기의 통로를 차단하여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를 높이는 일종의 감속기이다.배기 파이프의 중간에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억제하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와 이 밸브가 작용할 때 배기 매니홀드 안에 압축된 가스가 밸브의 오버랩(Over Lap)에 의하여 흡기 매니홀드로 나와서 발생하는 특유의 소음을 방지하는 흡기 매니홀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밸브를 닫으며 엔진이 압축기의 역할을 하게 되어 제동력을 얻는다. 주로 디젤 기관을 사용하는 대형차에서 사용된다. * 관련 용어2014/10/12 - [자동차 용어/섀시용어] - 42.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자동차 용어: 섀시]2014/10/11 - [자동차 용어/섀시용어] - 35... 2014. 10. 13.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