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자동차 용어 일반150

6. 견인능력(Tractive Ability) [자동차 용어 : 일반] 6. 견인능력(Tractive Ability) [자동차 용어 : 일반]최대 적재 상태의 자동차 견일 할 수 있는 최대 여유 구동력 2014. 11. 9.
5. 차대번호(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자동차 용어: 일반] 5. 차대번호(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자동차 용어: 일반]차량의 등록시나 차량의 소유권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모든 법적인 사항에 사용된다. 차체에 타각되어 있는 차대번호와 등록증에 기록되어 있는 차대번호는 일치해야 한다.(보통 엔진과 차량 실내 사이의 방화벽에 타각되어 있다) 2014. 11. 9.
4. 자동차 스타일 (PLAIN BACK, NOTCH BACK, HATCH BACK, FAST BACK)[자동차 용어:일반] 4. 자동차 스타일 (PLAIN BACK, NOTCH BACK, HATCH BACK, FAST BACK)[자동차 용어:일반]1. 플레인 백(PLAIN BACK)프로토 타입(Proto Type) 스포츠카나 미드쉽 엔진의 슈퍼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 본래의 패스트 백에 비해 고속으로 달릴 때 차체의 뒤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 바람이 차를 뒤로 당기는 힘이 적어지고 뒷부분의 옆면적이 크기 때문에 옆바람의 작용점이 중심보다 뒤쪽으로 이동, 힘이 상쇄됨으로써 옆바람의 영향이 작아진다. 달릴 때의 안전성도 좋으며 패스트 백에 비해 실내 뒷부분의 공간을 크게 해주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패스트 백 모델이 프레인 백의 영향을 받아 거의 양자를 구별하기 힘들다.2. 노치백(NOTCH BACK)차체 뒤쪽의.. 2014. 8. 10.
3. 자동차 형태 (ONE BOX,TWO BOX,THREE BOX, 1.5 BOX)[자동차 용어:일반] 3. 자동차 형태 (ONE BOX,TWO BOX,THREE BOX, 1.5 BOX) [자동차 용어:일반] 1. 1박스(ONE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차체 전체가 하나의 상자로 보이는 형식. 1박스 웨곤(Wagon)을 생략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그레이스, 베스타 등이 있다. 2 .2박스(TWO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엔진실과 차체실내가 2개의 상자로 덮혀 있는 것과 같은 형식. 지프와 해치백식의 승용차가 이 형식에 해당되면 트렁크 부분은 실내에 있다. 3. 3박스(THREE BOX) 자동차 형태의 디자인 용어로 차량을 옆에서 보았을 때 엔진실, 차체실내, 트렁크의 3개 상자로 이루어져 있는 형식이며 3 보디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세단의 형태이고, 이 형식은 1.. 2012. 4. 25.
2. 자동차 규격(축장, 전장, 윤거, 전폭, 전고, 최저 지상고)[자동차 용어:일반] 2. 자동차 규격(축장, 전장, 윤거, 전폭, 전고, 최저 지상고) [자동차 용어:일반] 1. 축거(WHEEL BASE) 앞차축과 뒷차죽 중심간의 거리. 축간거리라고 하며 큰 트럭은 흔히 2축이므로 제 1축과 제2축의 거리, 제2축과 제3축의 거리를 함께 표시하기도 하며 측정은 빈 차 상태에서 실시한다. 측거가 긴쪽이 승차감이 좋다고 말할 수 있으나 차의 크기에 따라 제한되므로 축거가 차크기 등급에 하나의 기준이 된다. 2. 전장(OVERALL LENGTH) 자동차의 앞부분에서 뒷부분에서의 길이. 대개 앞뒤 범퍼의 끝을 잰다. 3. 윤거(TREAD) 좌우타이어 접지면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 한쪽에 2개의 타이어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중간점에서부터 재면 빈 차 상태에서 측정한다. 대개 윤거가 넓을수록 .. 2012. 4. 22.
1. 차량 중량 (차량 총 중량,차량중량, 최대적재량) [자동차 용어:일반] 1. 차량 중량 (차량 총 중량,차량중량) [자동차 용어:일반] 1. 차량 총 중량(GROSS VEHICLE WEIGHT) 정원이 승차하고 화물이 최대로 적대되었을 때의 자동차 총중량. 이때 사람 1명의 무게는 55kg을 계산한다. 2. 차량중량(CURB WEIGHT) 빈차 상태에서의 중량. 공차중량이라고도 한다. 빈차상태란 연료, 윤활유 등을 정량대로 넣고 정상적으로 차를 운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승객, 공구, 스페어 타이어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차량 중량이 가벼울수록 성능 및 경제성이 좋지만 너무 가볍게 만들면 충돌, 돌품 등에 약한 결점이 발생한다. 3. 최대 적재량(MAX PAYLOAD) 자동차 메이커에서 설계상 설정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중량. 이 최대적재량을 초과해서 화물을 .. 2012.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