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용어1656

78. 다이 스포팅(Die Spotting) [자동차 용어: 플라스틱금형/금형] 78. 다이 스포팅(Die Spotting) [자동차 용어: 플라스틱금형/금형]형의 한 부품을 다른 부품과 밀착 시키기 위해 완성된 부품 표면에 오일칼라를 칠하고 그것에 예정부품 표면을 눌러 맞추면 높은 부분에 색이 옮아서 찍히는 것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다. 2016. 6. 25.
74. 복합수지란 무엇일까? 74. 복합수지란 무엇일까? 흔히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복합화한 재료를 ‘복합재료’라고 합니다. 복합재료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는데요, 가령 진흙과 밀짚으로 벽돌을 만들어 이를 건축에 사용하면 진흙으로만 만들어진 벽돌보다 훨씬 내구성이 좋습니다. 이처럼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재료들이 더해져서 그 각각의 재료들보다 성능과 기능이 뛰어난 구조를 가질 때 복합재료라고 부릅니다. 복합재료의 가장 보편적인 구조는 두 가지 요소, 즉 접합재료의 역할을 하는 기지(Matrix)와 강화재 역할을 하는 필러(Filler)로 구성된 것입니다. ‘복합수지’는 수지(Resin, Polymer, Plastic)가 기지(Matrix) 역할을 하는 복합재료를 말합니다.복합수지의 구분 수지의 구분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2016. 5. 2.
73. 자동차 소물인터넷 (Internet of small Things) 73. 자동차 소물인터넷 (Internet of small Things)간단한 통신모듈만으로 사물 간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저전력, 저비용, 저용량이 특징인 전송기술. 다양한 사물에 적용할 수 있고, 내장된 배터리만으로 장기간 서비스가 가능하다. 아마 멀지 않아 자동차나 자전거와 같은 개인 교통 수단에도 아주 작은 칩으로 이런 소물 인터넷을 적용 하여 차량의 도난, 사고, 범죄예방 등에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동차 제조사는 자동차의 어느 부분에 소물인터넷 센서를 달까? 자동차 엔진룸, 운전석 주위, 자동차 시트 주위, 아니면 트렁크 부분이 될 것이다. 2016. 4. 7.
72. 자동차 크기 [자동차 용어: 규격- 최저지상고/휠베이스/오버행] 72. 자동차 크기 [자동차 용어: 규격- 최저지상고/휠베이스/오버행]자동차 카다로그에서 제원을 살펴보게 되면 전장, 전폭, 전고라는 말이 나온다. 전장은 차의 길이를, 전폭은 차의 너비를, 전고는 차의 높이를 가리킨다. 최저지상고는 하체면과 노면사이에 높이를 뜻한다. 보통 하체에서 노면쪽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 액슬(axle) 디퍼렌셜 케이스(differential)나 서스펜션(suspension)에서의 로우암(low arm)등이 최저지상고의 기준이 된다. 2016. 4. 2.
56.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 56. 사이드 가니쉬(side Garnish)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장 식이나 꾸밈을 말한다. 자동차에서는 프런트 그릴이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주위에 바디색과 다른 약간 튀어나온 한 장식물을 달아 볼륨을 주어 차체 안정감과 고급스러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사이드 가니쉬 차체 옆면의 디자인을 강조하는 중요한 의장 부착물이다. 2016. 4. 1.
55.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Mud Guard)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 55.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Mud Guard) [자동차 용어: 차량/의장/조립/트림]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Guard) 기능 및 장착 위치타이어로부터 튀어 오르는 진흙이나 작은 돌 들에 의해 자동차의 하체가 팬다(Fender)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타이어의 뒷면에 판모양으로 달려있다. 머드 플랩/머드 가드(Mud Flab/Guard) 장착 차량고무나 프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 특히 비포장을 질주해야 하는 오프로드(off road), 랠리차량(rally vehicle)들은 필수이며 더 큰 사이즈와 큰 면적의 팬다(Fender)로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 2016.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