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개발 용어391

372. 내습성(Humidity Resistance) [자동차 용어: 도장/페인트] 372. 내습성(Humidity Resistance) [자동차 용어: 도장/페인트] 고온(50℃)에서 상대 습도 98% 이상의 습윤 상태에 도막 시험편을 보관하여도 도막의 방식 기능을 유지하는 성질이다. 2015. 11. 14.
1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Rolling Radius)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Rolling Radius) [자동차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개념 타이어의 중심축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차량은 개발 당시 요구되는 차속과 구동력 등에 따라 적절한 엔진의 회전속도에 맞춰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주행 중 동하중 반경의 변화가 크게 되면 차속과 구동력도 바뀌게 되어 성능상의 오차를 가져온다. 2. 차량 속도계 기준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에서 얻어진 설제 차속이 아니라 변속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기준 삼아 실제 차속을 추정한다. 이런 이유로 차량속도계 차속 실제 차속과의 오차가 있다. ◇ 실제 차량속도(km/h)=2π동하중반경×(엔진rpm)/(변속비×종감속비)×60/1,000 2015. 11. 10.
3. 브레이크 베이퍼 록(Brake Vapor Lock) [자동차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3. 브레이크 베이퍼 록(Brake Vapor Lock) [자동차 개발 용어: 자동차 섀시/샤시/Chassis] 1. 정 의 연료 회로나 브레이크 유압 회로 내에 생기는 현상으로 사용 액체가 증발되어 송유, 압력 전달이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이다. 2. 원인 긴 내리막길 주행 과도한 유압 브레이크 사용 시 드럼과 라이닝의 끌림, 잔압의 저하, 불량 오일의 사용, 오일의 변질에 의한 비점저하 등이 원인이다. 3. 현상(증상)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작동이 둔해진다. 4. 대책 높은 비점, 잔압유지, 질 좋은 오일 사용, 브레이크 라인이 과열되지 않게 해야 한다. 2015. 11. 6.
60. 기준사상 [자동차 용어: 프레스/금형] 60. 기준사상 [자동차 용어: 프레스/금형] 기계 가공 후 기계 가공 잔량을 사상 작업으로 제거하여 기준물로 삼아 비마스터측의 형맞춤이 가능한 정도까지의 일련의 작업 2015. 11. 6.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7. 알루미늄 합금 차체에 사용하는 이유와 강재 차체와 비교 1. 알루미늄 합금 차체 사용 이유 자동차 중량은 안전성과 운전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가했으나, 이와 반비례하여 연비의 악화를 가져다 주었다. 경량화, 고강성,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알루미늄 차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것은 알루미늄과 다른 금속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면 차체의 요구 성능을 만족 시키고, 연비 개선 및 환경 규제 대응에 유리하다. 2. 알루미늄 차체의 구조 1) 모노코크(Monocock) 구조 강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압출 성형재를 이용한다. 3) 하이브리드 구조 모노코크와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로 주조,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의 3가지 방법을 조합해서 제조한다 3. 알루미늄 합금 차.. 2015. 11. 5.
48. 기존차 문제점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 48. 기존차 문제점 [자동차 용어: 공통/생산기술]향후 개발 차종에서 품질, 원가, 납기 개선을 위해 기존에 양산중인 차종에서 발췌하여 정리된 문제점 및 대책으로 주로 기존 차종 고질 문제점에 대하 재발 방지 및 근본 대책을 신차종에 반경하기 위함이다. 2015.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