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기관 용어38

21. 디젤 엔진의 다운 사이징(Down-siz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엔진 개발] 21. 디젤 엔진의 다운 사이징(Down-siz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엔진 개발] 1. 배경 수송 분양에서 배출되는 CO2의 경우 국내의 경우 전체 배출량의 20% 정도를 차지한다. 디젤 차량의 보편화에 따라 고압분사, 터보 차저, 배출가스 저감 등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승용 및 Light Duty 차량에 적용되면, 08년 상반기 신규 등록 차량의 18.7%가 디젤 엔진을 장착하였다. 디젤 엔진은 가솔린 대비 연비는 17~42% 우수하면, Co2의 경우 4~19% 디젤 차량이 절감된다. 그러나 디젤은 PM과 NOX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2. 개선 방향 분사제어, 과급 능력 및 향상, 배기 가스 제어 등이 개선되면 디젤 차량의 연비에는 향상의 여지가 있다. 3. 디젤 차량의 다운 사이징 엔진.. 2015. 10. 27.
19. 커먼 레일 엔진(Common Rail Engine)의 필요성과 기능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9. 커먼 레일 엔진(Common Rail Engine)의 필요성과 기능 [자동차 전문 용어: 엔진/기관] 1. 도입 배경 EURO 6 기준을 만족하고자 전자식 EGR의 적용과 람다 센서로 피드백함과 동시에 DPF의 후처리 장착을 권장하게 된다. 차량의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저속, 중속 영역에서 분무 시 액적의 미립화를 하여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노즐의 분공경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 결과로 분공경이 작아지면 고출력 영역에서는 분사시간이 길어지므로 짧은 시간에 분사량을 설계 스펙에 맞추려면 연료를 고압화 하면 된다. 즉 고출력화를 위해서는 높은 분사 압력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2. 효과(다단분사) 예혼합 연소에 의한 PM의 저감, 착화지연 기간 단축으로 Nox와 Knock 소음 적마, 확산 연.. 2015. 10. 26.
18. 공연비(A/F)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18. 공연비(A/F)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의 질량비를 공연비라 하고 A/F 또는 AFR로 표시한다.(체적비로 보면 대략 연료1은 공기의 체적으로 보면 대략 11㎥이다). 가솔린 엔진의 공연비는 대략 8:1~18:1 정도로 유지되면 린번 엔진과 HCCI에서는 더욱 높은 공연비로 운전된다. 2015. 10. 24.
17. 공기 과잉률(λ)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17. 공기 과잉률(λ) [자동차 전문 용어: 기관/엔진] 실제로 실린더에 공급된 공기와 연료의 비(Ratio)를 이론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이론 공연비)로 나눈 값이며, 가솔린과 디젤엔진에서 널리 사용 공기과잉률(λ)=실제로 공급된 공연비(A/F)/이론 공연비(A/F) 2015. 10. 24.
15. Dual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5. Dual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 원리 Idle시에 밸브 오버랩을 두지 않아서 연소실 압력을 높여 완전 연소율을 향상시켰으며, 흡기관 역류를 방지하여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부분 부하 시 기존의 싱글 CVVT는 흡입 행성시 흡기 밸브를 진각시켜 펌핑일을 감소 시켰으나 듀얼 CVVT는 흡기 밸브는 최지각하고 배기 밸브를 지각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1) 밸브 오버랩 구간에서의 펌핑 일 감소 2) 잔류 가스양 증가로 인해 흡기압 상승 3) 흡기밸브 닫힘 시기를 지각하여 흡기압을 상승시킨다. 2. CVVT의 효과 1) PMEP(Pumping Mean Effective Pressure)감소로 연비를 향상시킨다... 2015. 10. 23.
171. 구성인선(Built Up Edge)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71. 구성인선(Built Up Edge)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기공 중 Chip이 절단되지 않고 고온의 가공열에 의해 경화되어 공구 끝에 부착되어 점점 쌓여가다 공구재질과 함께 탈락하는 현상으로 공구 수명을 단축시킨다. 2015.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