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엔진 용어105 170. 구간 Try-out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170. 구간 Try-out [자동차 용어: 엔진/기관] 개별 설비의 시운전을 마친 후 입고된 설비의 전후 장비별 물류 흐름을 확인 해가며 생산성, 품질, 보전성을 구간별로 확인하여 문제점을 조치하는 작업 2015. 10. 20. 12. ACV(Air Control Valve)공기 조절밸브 기능 12. ACV(Air Control Valve)공기조절 밸브 기능 1. 위치 흡입 공기량 제어를 위해 흡입 매니 홀드에 장착한다. 2. 기능 시동 off시 공기 차단으로 디젤링 방지. 정확한 EGR 제어를 위해 EGR 작동 시 ACV를 작동시켜 흡입 공기량 제엉 CPF 재동 시 배기 온도 상승을 위해 흡입 공기량을 낮추어 공연비를 농후하게 조작하여 배기 온도 상승을 유도한다. 3. 적용 터보 디젤의 경우 흡기관내의 압력이 높고 EGR양의 제어가 어려워서 흡기 쓰로틀 밸브와 EGR 밸브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흡기 쓰로틀 밸브는 EGR을 위해 채용되며, 흡기 매니홀드 입구에 설치하여 흡기관 내의 압력을 저하시켜서 배기가스가 쉽게 흡입되도록 하고 있다. 2015. 10. 18. 168. 공연비(Air Fuel Ratio) [자동차 용어: 엔진/동력] 168. 공연비(Air Fuel Ratio) [자동차 용어: 엔진/동력]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로서 혼합기내의 공기와 연료의 무게 비율(%) 2015. 10. 15. 166. 공동현상(Cavitation) [자동차 용어: 엔진/동력] 166. 공동현상(Cavitation) [자동차 용어: 엔진/동력] 펌프 등의 깃에 유체가 작용할 때 깃의 표면으로부터 유체가 떨어져 와류 및 공기가 생기는 현상 2015. 10. 14. 165. 공기흐름센서(Air Flow Sensor) [자동차 용어: 엔진/동력] 165. 공기흐름센서(Air Flow Sensor) [자동차 용어: 엔진/동력] Air Cleaner내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량을 계측하여 흡입 공기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ECU에 보낸다. ECU는 흡입 공기량 신화와 Engine 회전수 신호를 이용하여 기분 분사 시간을 계산한다. 2015. 10. 14. 163. 공구교환 시간 [자동차 용어: 엔진 생산기술/엔진/동력] 163. 공구교환 시간 [자동차 용어: 엔진 생산기술/엔진/동력] 공구 교환 개시에서 양품 생산까지의 해당 설비 정지 시간. 2015. 10. 13. 이전 1 ··· 4 5 6 7 8 9 10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