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엔진49

49. 자동차 배기관에 장착되는 산소센서(O2 Sensor)의 구조와 원리 자동차 배기관에 장착되는 산소센서(O2 Sensor)의 구조와 원리산소센서(O2 Sensor)의 기능(O2 Sensor)산소센서(O2 Sensor)(O2 Sensor) 배기 가스 중의 산소의 농도와 대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출력 전압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의 기준 신호를 제공한다. 산소 센서의 출력 전압은 혼합기가 희박할 때 약 0.1V를 발생하고, 혼합기가 농후할 때 약 0.9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산소센서(O2 Sensor)의 원리산소센서(O2 Sensor)는 한쪽은 배기가스에 접하고 다른 쪽은 대기 중의 신선한 산소와 접하여 혼합기가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농하거나 희박함에 따라 출력이 즉각적으로 변한다. 산소센서(O2 Sensor)는 정상적으로.. 2015. 12. 21.
48. 자동차 엔진(Car Engine)의 드웰각(Dwell Angle),캠각(Cam Angle) 자동차 엔진(Car Engine)의 드웰각(Dwell Angle),캠각(Cam Angle)드웰각(Dwell Angle)을 보통 캠각(Cam Angle)이로고도 한다. 그 이유는 접점식 점화 장치에서 1차 전류가 방전되는 구간과 캠의 회전에 의해 포인트가 접지되는 구간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트랜지스터식 점화 장치에는 캠(Cam)이 없고, 트랜지스터 베이스 전류의 on-off의 의해 1차 전류를 단속하므로 드웰각(Dwell Angle)이라 한다. 2015. 12. 17.
43 자동차의 Run-on 현상? 자동차의 Run-on 현상?Run-on이란 점화 스위치의 키를 뽐은 상태에서도 기관이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연소실에 미연의 연료가 남았든지, 연소실로 연료가 계속 공급되어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는 열점이 있기 때문이다. Run-on 시간은 짧으면 좋으며, 이것을 구조적을 방지하지 못하면 자동차가 key off 시에도 주행이 가능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2015. 12. 14.
40. 자동차 내연기관에 입력되는 센서(Sensor)와 전자 제어 시스템(ECU, Electric Control Unit) 자동차 내연기관에 입력되는 센서(Sensor)와 전자 제어 시스템(ECU, Electric Control Unit) 제어 계통(Control Sytem)은 기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그 신호에 따라 분사량, 분사시기, 공연비 등을 계산하는 전자 제어 유닛(Electric Control 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주요 부분은 연료 분사량 제어, 분사 시기 제어, 공연비 제어 등이 있다.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자제어 장치의 흐름은 다음 그림과 같다. 각종 센서(Sensor)류가 입력부로서 각종 자동차 내외의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차 ECU(Electric Control Unit)에 입력되면 ECU는 최적의 분사 시가, 연료 분사량, 연료 분사 시기, 공연비 등의 제어를 위하여 각종 액츄에이터(Ac.. 2015. 12. 7.
39. 가솔린 엔진 당량비(Ø)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가솔린 엔진 당량비(Ø)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가솔린 엔진에서 당량비(Ø)의 정의공기 과잉률의 역수로서 이론 공연비를 실제 공연비로 나눈 값이며, 북미에서는 가솔린 엔진에서 주로 사용한다. 디젤 엔진에서는 항시 희박 조건이므로 당량비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당량비(Ø) 식당량비(Ø)=이론공연비/실제 공급 공연비=1/λ= 이론공연비 A/F / 실제 공연비 A/F 당량비(Ø)와 공기 과잉율(λ)과의 관계공기 과잉률(Excess Air Factor)은 이론 공연비와 실제 공연비의 비로서 1 이상이면 공기 과잉 또는 연료 부족(Fuel Lean)이고, 1 이하이면 공기부족 또는 연료과잉(Fuel Rich)이다. 또한 당량비 Ø(Equivalence Ratio)는 공기 과잉률 λ의 역수로.. 2015. 12. 6.
30. 자동차 엔진 노킹 센서(Knocking Sensor)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30. 자동차 엔진 노킹 센서(Knocking Sensor) [자동차 개발 용어: 엔진/파워트레인/기관] 노킹(Knocking) 발생 시 영향 연소실의 온도가 1,000K 이상의 온도 상승으로 부품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며, 높은 열과 고압으로 실린더 내 부품의 소손 및 부식이 발생된다. 노킹(knocking) 발생시 주파수는 약 6~20KHz이다. 사진1. 노킹 센서(Knocking sensor: GM blog) 노킹(Knocking) 발생의 주요 요소 흡기온도, 연료특성, 압축비, 압력, 점화시기 및 엔진 벽면으로의 열 전달률 등이 있다. 노킹 감지기(Knocking Detector)로 노킹을 판정하고 ECU는 노킹(Knocking) 감지 신호로 점화 시기를 조절하여 노킹(Knocking)을 억제한다.. 2015.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