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용어:섀시3 5. 레이디얼 타이어(Radial tire) [자동차 용어:섀시] 5. 레이디얼 타이어 [자동차 용어:섀시]이 타이어는 타이어의 카커스 코드 방향이 중심선과 90도의 각을 이루고, 그 위에 브레이커를 원주 방향으로 넣어 만든 것이다. 원주 방향의 압력은 브레이커가 받고, 반지름 방향의 공기 압력은 카커스가 받도록 되어 있다.장점1) 하중에 의한 트레트 변형이 작아서 접지 면적이 크다2) 선회할 시 옆 방향의 힘을 받아도 변형이 적ek 3) 편평률을 크게 할 수 있다.4) 전동저항이 적고 내미끄럼성과 주행안전성이 향상된다. 5)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적다. 단점튼튼한 브레이커로 인해 충격 흡수 잘 되지 않고, 승차감이 좋지 않다.*관련 글2014/07/30 - [자동차 부품] - 1. 타이어의 역사(The history of Tire)2012/04/16 - [자동차 사양.. 2014. 8. 11. 3.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 [자동차 용어:섀시] 3. 엔진 브레이크(Engine Brake) [자동차 용어:섀시]엔진을 자동차 제동에 이용하는 운전법.주행 중 엑셀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떼어 구동바퀴에 의해 엔진을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엔진의 흡인, 각부의 미끄럼 운동이나 회전 마찰 등의 저항을 이용하여 제동을 하는 방법이다. 차량을 정지시키려고 할 때나 비탈길을 내려갈 때는 이 방법을 보통의 브레이크와 병용하며, 급경사에서는 구배에 따라서 변속기를 저속에 넣어 더 한층 큰 엔진 브레이크를 건다.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엔진의 압출 압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것 즉 엔진에 브레이크 작용을 하기 하는 것을 의미함.* 참조글2014/08/31 - [자동차 운전/관리] - 7.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대처법2014.. 2014. 8. 8. 2.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 [자동차 용어:섀시] 2.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 [자동차 용어:섀시] 자동차가 고속 주행시에 타이어가 회전하면서 노면과 접촉시 접지부가 변형되었다가 접지면을 지나면 내압에 의하여 처음 형태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행중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변형이 처음의 형태로 되돌아오는 빠르기보다도 타이어의 회전 속도가 빠르면 처음의 형태로 복원되지 않고, 물결 모양으로 변형된다. 이것을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라 한다. 또 트레드부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커지므로, 복원력이 커지면서 지나친 진동파가 타이어 둘레에 전달되어 앞의 물결 모양의 변형 및 흐름 속도가 타이어의 회전 속도와 일치하면 진동파는 움직이지 않고 정지 상태로 된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변형에 의하여 타이어의 피로가.. 2012. 4. 24. 이전 1 다음 반응형